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77시간 만에 완전 진압
by이재은 기자
2025.05.20 14:43:06
[이데일리 이재은 기자] 금호타이어 광주 공장 화재가 사흘 만에 완전히 진압됐다.
 | 20일 오후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화재조사 소방대원이 긴급구조통제단 본부로 향하고 있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사흘만에 완전진화를 선언하고 건물 철거 등 마무리 작업에 돌입했다. (사진=연합뉴스) |
|
소방 당국은 20일 오전 11시 50분 화재 진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 17일 오전 7시 11분 화재가 발생한 지 76시간 39분 만이다.
소방 당국은 지난 18일 오후 2시 50분께 주불을 잡았지만 각종 가연성 물질이 뭉친 200여개의 불덩어리로 인해 잔불 진화 작업에 난항을 겪었다.
당초 소방 당국은 지난 18일 주불이 잡히고 진화율이 약 95%로 집계되자 곧 불이 꺼질 것으로 내다봤지만 잔해에서 불씨가 되살아나고 붕괴 추락 위험 등으로 인해 대원의 진입을 잠시 멈추기도 했다.
 | 20일 오후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소방대원이 먼지와 연기를 막기 위한 소방용수를 분무하고 있다. 당국은 화재 발생 사흘만인 이날 완전진화를 선언하고 마무리 작업에 돌입했다. (사진=연합뉴스) |
|
이번 화재는 지난 17일 오전 7시 11분께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내 2공장(서편) 원자재 제련동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공장 3층 옆 건물로 대피하려던 20대 직원 1명이 추락해 머리와 허리 등을 크게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공장 내 폐유 저장탱크 폭발과 건물 붕괴로 소방관 2명이 부상을 입었다.
당국은 불길이 생고무 20t과 샌드위치 패널 구조 공장 건물 여러 개를 태우며 원자재 공정이 집중돼 있는 2공장에서 60% 안팎이 타거나 그을린 것으로 잠정 파악했다.
직접적 화재 피해와는 별개로 유독가스와 생고무 연소에 따른 분진 등으로 2차 피해가 발생해 광주공장 인근 4개 아파트단지 주민 71세대, 132여명이 광주여대 체육관으로 대피했다.
이날 오전 10시 기준 광산구에 접수된 주민 피해는 1236건으로 개별 사례로는 두통과 구토, 어지럼증 등 인적 피해가 603(48.8%)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내 2개 구획 중 서쪽 공장(2공장)의 50~65%가 불에 타 타복구에만만 수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