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행동 첫날 혼란…“사태 장기화가 더 큰 일”(종합)

by이지현 기자
2024.02.20 16:58:47

수술·입원 일정 조정 통해 환자 쏠림 막았지만
교수·전문의 늘어난 업무량 2주 이상 버티기 어려워

[이데일리 이지현 함지현 기자] 의대정원 2000명 증원에 집단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에 나서며 20일부터 의료공백이 발생했다. 하지만 현장에는 예상했던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병원에서 사전에 신규 입원 및 수술 연기 등을 통해 일정을 조정해 헛걸음질하는 환자는 많지 않았다. 외래 진료는 대부분 정상 소화됐다.

현장 안팎에서는 이런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가 문제라고 지적한다. 전공의가 담당했던 당직 등 현장 공백을 현재 전문의와 교수들이 메우고 있지만 장기간 이어질 땐 그 누구도 버티지 못할 거라는 우려 때문이다.

20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전공의 1만3000명 중 약 95%가 근무하는 주요 100개 수련병원의 점검 결과, 소속 전공의의 55% 수준인 6415명(19일 오후 11시 기준)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사직서는 모두 수리되지 않았다. 사직서 제출자의 25% 수준인 1630명만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중수본이 10개 수련병원 현장을 점검한 결과 총 1091명(19일 오후 10시 기준)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 가운데 757명이 출근하지 않았다. 중수본은 병원별 현황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연세대세브란스병원과 가톨릭대성모병원 등의 이탈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고 귀띔했다. 나머지는 이탈자가 없거나 소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과별 상황이 조금씩 다르지만 정상 출근해 근무 중인 전공의가 많다”며 “하지만 단체행동에 나서지 않았다고 표적이 될까 봐 공개되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 귀띔했다.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환자 피해도 곳곳에서 나타났다.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를 통해 의사 집단행동으로 인한 국민의 피해사례는 개소 첫날 오후 6시 기준 34건이 접수됐다. 상담 사례 중 △수술 취소 25건 △진료예약 취소 4건 △진료 거절 3건 △입원 지연 2건 등이었다. 이 중에는 1년 전부터 예약된 자녀의 수술을 위해 보호자가 회사도 휴직하였으나, 갑작스럽게 입원이 지연된 안타까운 사례도 있었다.

중수본은 728명에 대해 새로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다. 기존에 이미 명령을 내린 103명을 포함하면 지금까지 총 831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한 것이다. 이날은 50개 병원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실시해 근무지에 나타나지 않은 전공의에게는 다시 업무개시명령을 내릴 예정이다.



박민수 중수본 부본부장은 “집단행동으로 인해 초래될 상황을 알면서도 정책반대를 위해 환자의 곁을 떠나는 것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며 “전공의들은 환자와 그 가족들을 불안하게 하는 집단사직과 휴진을 조속히 철회하고 환자의 곁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병원 곳곳에서 발생할 것으로 ‘의료 대란’은 일단 한고비를 넘긴 모습이지만 사태 장기화 시 어떤 방향으로 흐를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대전성모병원 전공의로 재직하다 사직한 류옥하다씨는 “이 사태가 마무리돼도 필수의료 전공의 중 4분의 1, 혹은 3분의 1이 돌아가지 않을 수 있다”며 “이대로 계속 가면 의료가 붕괴할 수 있다. 안타깝다”고 말했다.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의 시작과 끝을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다. A병원 관계자는 “당분간은 병원에 남아 있는 교수와 전임의 위주로 공백을 메울 수가 있겠지만 이게 언제까지 갈 수 있겠냐”고 걱정했다. 전공의의 병원 내 업무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전공의가 빠져버리면 해당 업무가 전문의와 교수, 간호사들에게로 짐지워지는 구조여서다.

정진행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분당서울대병원 병리과 교수)은 “병원에 남아 있는 인력으로는 1~2주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전문의사 필수의료 인력이 되고자 수련을 준비 중인 전문의들이 필수의료 인력이 되고자 하는 공부하고자 하는 과정을 포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82개 대학병원 임상강사·전임의들이 입장문을 내고 정부와의 대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보건 정책을 위한 의사들과의 진정한 소통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