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준기 기자
2022.06.30 15:45:34
세계 최초 'GAA 신기술' 적용한 3나노 반도체 양산 시작 공식발표
메모리 이어 파운드리·시스템까지 장악…'2030 비전' 달성 청신호
전문가들 "반도체 업계의 패러다임 체인지" "고객 확보 시간문제"
[이데일리 이준기 최영지 기자] “파운드리 업계의 패러다임 체인지가 이뤄졌다.” (김정호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파운드리 빅5 고객사 확보는 이제 시간 문제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
삼성전자가 30일 세계 최초로 게이트올어라운드(GAA)를 기반으로 한 3나노(nm·10억분의 1m) 반도체 양산을 시작했다. 최근 ‘기술’을 경영전략의 최상단에 올려놓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지시 이후 메모리에 이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서도 ‘초격차’를 확보할 교두보를 마련한 것이란 게 업계 및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파운드리 사업구조상 공정 기술력의 차이는 고객사의 수주물량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보다 고효율·고성능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곳이 없는 만큼 퀄컴·엔비디아·브로드컴·AMD·미디어텍 등 주요 고객사가 자연스레 삼성에 몰릴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특히 이 부회장은 최근 유럽출장에서 초미세공정의 핵심인 네덜란드 반도체장비기업 ASML의 차세대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버전인 ‘하이 뉴메리컬어퍼처(NA) EUV’ 도입까지 마무리 짓고 온 상태다. 앞으로 8년 내 메모리는 물론 파운드리와 팹리스(설계) 시스템반도체까지 평정하겠다는 이 부회장의 ‘2030 비전’ 달성에 발걸음을 성큼 내디뎠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