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수시개방키로…시범운영 생태복원 확인

by김경은 기자
2022.02.10 14:51:22

낙동강유역물관리위,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방안 의결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확대하는 한편, 염분 유입 차단 및 피해구제책 등을 담은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이 추진된다.

10일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달 28일부터 9일까지 서면 심의를 진행해 이러한 내용을 담은 ‘낙동강 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방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낙동강 하굿둑은 낙동강 하류 지역에 대한 안정적인 농·공·생활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 등을 위해 1987년 건설됐다. 하지만 이후 출현어종이 단순화되고 식생이 변화해 철새가 감소하는 등 생물다양성과 생태적 가치 훼손 문제가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낙동강 하구 생태계를 회복하기 위해 2017년부터 ‘낙동강 하굿둑 수문 시범 개방’을 추진했고, 염분 피해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고 기수생태계 복원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바닷물 유입 후 하굿둑 상류에서 뱀장어·농어 등 기수 어종이 더 많이 관측되는 등 생태복원의 가능성도 확인했다.

숭어, 농어 등 기수종 및 장어, 연어 등 회유종의 출현이 증가하는 등 출현종수가 약 2배(300종→611종) 증가했고, 해수유입에 따른 혼합효과로 화학적산소요구량(COD) 8.3% 개선하는 등 수질도 개선됐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이에 앞으로 바닷물 유입 기간을 4개월에서 매월 대조기(음력 보름·그믐 무렵)로 확대한다. 다만 낙동강 하류 지역 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하굿둑 상류 15㎞ 이내로 기수역을 조성해 수질과 생태 변화를 관찰한다.



염분이 하굿둑 상류 10∼12㎞에 도달하면 바닷물 유입을 중단해 농업용수로 활용되는 서낙동강 유역에 염분 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하천·토양·지하수의 염분 변화에 대한 관측을 강화하고, 관측 결과를 공개해 관계기관·전문가·지역주민 등과 함께 논의한 후 향후 정책 방향에 반영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서낙동강 유역으로의 염분 유입을 원천 차단하고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대저수문과 운하천 시설 개선을 병행한다. 시설개선 이전에는 상류의 댐·보와 하굿둑을 연계 운영해 비상 방류 체계를 구축, 염분 피해를 방지한다.

염분 피해가 발생할 경우 관계기관 지원 하에 농업용수를 비상 공급하고, 환경분쟁조정제도 등을 통한 피해구제도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서낙동강 유역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관계기관 및 지역사회와 협의해 중장기 도시계획, 서낙동강 수계 하천정비사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진애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이번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방안’이 낙동강 하구가 가진 소중한 자연성의 가치가 회복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각종 용수 확보에 문제가 없도록 관련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