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전설' 키신저, 한반도와도 70년 인연…한미동맹 강조

by박종화 기자
2023.11.30 15:11:59

"한·미, 굳건한 공조로 북핵문제 풀어가야"
1975년 남·북한 교차승인-유엔 동시가입 제안
김대중 납치사건 당시 막후 중재설도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29일(현지시간) 별세한 ‘외교의 전설’ 헨리 키신저 전(前) 외교장관은 한반도와도 오랜 인연을 맺어왔다. 특히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를 위해선 한·미 관계를 강화하는 건 물론 미국도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었다.

2001년 김대중(왼쪽)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한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e영상역사관)


키신저는 지난 4월 아산정책연구원이 ‘한미동맹 70년과 그 이후’를 주제로 개최한 ‘아산 플래넘 2023’ 행사에서 영상축사를 통해 은 “북한이란 독재 국가가 대량살상무기(WMD)를 개발하면서 한국에 암운이 드리워졌다”며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 등 한국의 안보 필요에 대한 견해를 존중해야 하며 이러한 위험에 대응하고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지 않도록 상황의 변화를 분석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연초에도 정몽준 아산정책연구원 명예이사장과 만나 “한국과 미국이 굳건한 공조로 북핵 문제를 슬기롭게 풀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키신저와 한국의 인연은 70년이 넘는다. 그는 하버드대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공부하던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한국을 찾아 ‘미국의 전략’이란 보고서를 작성, 윌리엄 엘리엇 백악관 고문 등에 고문 등에게 제출했다. ‘힘의 우위’를 바탕으로 미국이 소련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그의 보고서는 미국의 대한(對韓) 정책 등에 영향을 줬다.

1969년 키신저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되면서 한반도와의 인연은 더 깊어졌다. 그는 1973년 김대중 납치사건이 발생하자 김대중 전 대통령이 무사히 귀환할 수 있도록 막후에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무장관을 지내던 1975년엔 미국과 일본, 소련과 중국이 각각 남·북한을 교차 승인하고 두 나라를 유엔에 동시 가입시키자고 제안했다. 냉전 데탕트(긴장 완화)의 분위기를 한반도까지 확산시키기 위한 구상이었다. 그는 앞서 중국과 미·중 관계 개선을 추진하면서도 한반도 문제를 주요 의제로 논의했다. 하지만 키신저의 남북 교차승인 구상은 분단을 고착화한다는 북한의 반대로 무산됐다.

키신저는 최근엔 북핵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2017년 월스트리트저널 기고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선 미국과 중국 간 합의가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일본 역시 북핵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을 강조했다. 이는 국제사회에서 강대국의 역할을 강조하는 그의 현실주의 외교노선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