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레 해킹당하면 어쩌나"…미 정부, 러 보안업체 제재 '고민'

by고준혁 기자
2022.03.31 15:26:24

백악관 NSC 제재 원하지만 재무부가 보류
"러 정부, 카스퍼스키 이용해 해킹 가능성"
카스퍼스키, 전면 부인…"미국과 논의 원해"

[이데일리 고준혁 기자] 미국 정부가 러시아의 세계적인 사이버 보안 기업 카스퍼스키 랩 제재를 두고 고민하고 있다. 제재를 가할 경우 러시아가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해 미국 정부에 보복 해킹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미지=카스퍼스키 랩 홈페이지)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규탄하기 위해 카스퍼스키 랩을 제재하라는 압박을 넣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재무부는 제재를 보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카스퍼스키 랩을 제재하는 방식으로는 기업 자산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게 동결시키거나 미국 기업들이 이 회사의 제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고 WSJ는 설명했다.

재무부가 카스퍼스키 랩 제재에 망설이는 것은 러시아 정부의 반격 우려 때문이다. 이전부터 미국은 러시아 해커들이 카스퍼스키 랩의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 컴퓨터로 침입할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해왔다.

실제 이같은 이유로 과거 카스퍼스키 랩에 제재가 가해진 적이 있다. 2017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모든 민간과 군 연방 네트워크 회사에 카스퍼스키 랩 보안 프로그램을 지우도록 명령했다. 당시 카스퍼스키 랩은 북미 지역에서 큰 폭의 매출 감소를 겪었지만, 유럽과 중동 등 세계 각지에서 이용자가 늘며 전체 기업 이익은 오히려 증가했다.



카스퍼스키 랩의 전세계 고객사는 약 25만여곳에 달하며 4억명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국가별로는 러시아에 이어 미국이 2위인 것으로 전해진다.

카스퍼스키 랩은 미국 정부가 제기하는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카스퍼스키 랩 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염려하는 점에 대해 논의하고 싶다면서도 제재가 가해진다면 그것은 “우리 제품과 서비스의 완전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에 근거하기보다는 지정학적, 정치적 이유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주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는 카스퍼스키 랩을 국가 안보 위협 기업으로 신규 등록했다. 이 목록에는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중국전신(China Telecom), ZTE, 화웨이 등이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