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경은 기자
2024.11.12 15:46:48
수출기업 단기 호재 vs 장기 리스크
배터리·반도체·車 업계 수혜, 항공업계 타격
외채 부담 및 해외 투자 비용 부담 우려
“원달러 환율 상승, 가격 전가 어려워져”
[이데일리 김경은 박민 김응렬 기자]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넘보면서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엇갈리고 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환율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업계별 명암이 교차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 환율은 서울외환시장에서 1403.5원에서 마감했다. 종가 기준 1400원 돌파는 지난 2022년 11월 7일 이후 약 2년 만이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고환율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환율 상단이 1420원대까지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고환율 시대가 뉴노멀이 될 것이란 우려에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실적 하락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원화 가치 하락은 대규모 기업집단의 영업이익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실질실효환율이 10% 하락(원·달러 환율 상승)하면 대규모기업집단의 영업이익률은 0.29%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성근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대규모기업집단의 수출전략이 기술경쟁으로 변하면서 원화 가치 하락에 의한 매출 효과가 사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업종별 명암은 엇갈린다. 수출 중심 산업인 배터리, 반도체, 자동차 업계는 단기적으로 수혜가 예상된다. 대표적 수출 품목인 반도체 업계는 매출 증가가 기대되는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DDR5나 최신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 선단 제품 대부분은 기술 보호 목적을 위해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고 해외에 팔 때는 달러로 결제하기 때문에 매출이 커지는 구조다. 단 해외에서 구매하는 웨이퍼 등 원자재 가격이 오를 수 있는 점은 부담요인이다. 미국 투자시 대규모 달러 조달이 필요해 리스크가 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미국에 반도체 시설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는 원자재 대비 제품 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개선을 예상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해외 투자 비용과 외화부채 부담 증가로 인한 리스크가 존재한다. 예컨대 LG에너지솔루션은 환율이 10% 상승하면 보유한 달러 부채 평가 손실이 257억원 발생한다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