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토젠, 액체생검 기반 폐암 진단검사 임상 개시

by박태진 기자
2020.05.11 14:22:28

조직생검 불가능한 환자에 치료기회 제공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순환종양세포(CTC) 기반 액체생검 전문기업 싸이토젠(217330)은 액체생검 기반의 비소세포폐암 진단검사를 위한 임상을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국내 유명 대학병원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된다. 싸이토젠의 액체생검 진단기술로 폐암 PD-L1 발현 검사를 상용화해 더 많은 환자들에게 면역 항암치료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PD-L1은 암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암세포를 파괴하는 체내 T세포의 PD-1과 결합해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지 못하게 만든다. 현재 3세대 항암제로 각광 받고 있는 면역항암제 중 폐암에 주로 사용되는 키트루다(Keytruda), 옵디보(Opdivo)는 T세포의 PD-1에 부착되어 PD-L1이 PD-1과 결합할 수 없게 만드는 원리를 사용한 항암제이다. 면역항암제는 치료 효과가 좋으나 고가이기 때문에, 꼭 필요한 환자에게만 사용하기 위해 환자 대상으로 치료 전 PD-L1 발현 검사를 반드시 시행한다.



현재 PD-L1 발현 검사는 조직검사를 통해 이뤄진다. 조직검사를 통해 면역 항암치료를 받을 수 있는 비율은 전체 환자의 약 50% 정도다. 조직검사가 불가능한 나머지 환자들은 면역 항암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조차 얻을 수 없다.

반면 액체생검은 종양의 발생 부위와 관계없이 조직검사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도 시행할 수 있다. 이번 임상은 조직검사의 한계로 인해 치료기회를 부여 받지 못했던 환자들에게, 적정한 치료법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혈액을 활용하는 액체생검은 조직생검에 비해 검사 비용이 적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적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주기적 반복 검사(Serial Biopsy)를 통한 암 치료 예후 모니터링 등 다양한 영역으로의 시장 진출이 가능할 전망이다.

싸이토젠 관계자는 “이번 임상은 기존 검사법이 놓치는 부분을 보완하고 조직검사가 불가능한 환자들까지도 면역 항암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특히 기존 검사에서 치료대상에 포함되지 못했던 환자들에게도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