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관계 변화 예고하는 ‘김무성 체제’

by박수익 기자
2014.07.14 19:22:50

신임지도부 5명 중 3명 비주류.. 당청관계 화두
“할말하는 여당” 강조.. 인사난맥 목소리내나

[이데일리 박수익 김정남 기자] 박근혜정부 2년 차 여권 권력구도가 대거 재편되면서, 당·청관계에도 수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또 정부출범 이후 대립과 반목의 연속이었던 여·야관계에도 변화를 몰고 올지 관심이다. 14일 새누리당 신임 당 대표로 선출된 김무성 대표는 과거 ‘친박(친박근혜) 좌장’이라 불렸지만, 지금은 오히려 ‘친박계 맏형’ 서청원 의원과 대비되는 ‘비주류의 대표’격으로 분류되면서 당내 역 학구도 재편을 예고한다.

정권 초·중반 집권여당 대표로 비주류 인사가 선출되는 것은 이례적 현상으로 꼽힌다. 이명박 정부 때도 2008년 박희태·2010년 안상수 대표 등 친이계가 연이어 대표로 선출됐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전당대회 선거운동 기간 줄곧 김 대표가 여론조사 우위를 점해왔고, 선거인단 투표에서도 이변을 허락하지 않았다.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남경필·원희룡·홍준표 지사 등이 선전하고 비박계 정의화 의원이 친박계 주류 황우여 의원을 큰 차이로 꺾고 국회의장에 당선되는 등 비주류의 목소리가 높아진 분위기가 전당대회까지 고스란히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김 대표 뿐만 아니라 비박계로 분류되는 김태호, 이인제 의원도 최고위원에 당선되면서 이날 선출된 새누리당 지도부 5명 중 3명이 비주류로 분류된다. 여기에 지난 5월 선출된 이완구 원내대표도 이른바 ‘범박’(범박근혜계)으로 불리지만 기존 친박계와 비교하면 박근혜 대통령에 이렇다 할 정치적 부채가 없고, 주호영 정책위의장은 대표적 친이(친이명박계) 인사다. 이러한 구도는 2년 전 선출직 지도부 7명 중 심재철 의원을 제외한 6명이 친박계 일색이었던 구도와 확연히 다르다. 아울러 추후 임명되는 지명직 최고위원 2명도 김 대표와 호흡을 같이하는 인사들이 포진할 것으로 보인다.

김 신임 대표가 주도하는 새누리당 새지도부 체제에서는 무엇보다 ‘수평적 당·청관계’가 최대 화두가 될 전망이다. 김 대표 스스로도 출마선언과 그동안 선거운동 과정에서 ‘건강한 당·청 관계’, ‘국정동반자로서 할 말은 하는 집권여당’을 강조해왔다. 그는 “지난 일 년 반 동안 (친박 주류 중심으로 당을 운영)해왔는데 이대로는 안된다는 결론이 나지 않았나. 새로운 방향전환이 필요하다”면서, 당내구도 재편에서부터 변화와 혁신을 시작해야한다는 점도 언급해왔다.



특히 최근 연이은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와 부적격 장관후보자 논란 등 인사난맥이 끊이질 않는 가운데 ‘지역·세대를 아우르는 대탕평 인사’를 강조해온 김 대표가 얼마나 적극적 목소리를 낼 지도 주목된다.

아울러 대야(對野) 관계에서도 주례회동 등을 통해 관계 복원을 시도하고 있는 이완구 원내대표와 보여줄 ‘콤비플레이’도 관심이다. 김 대표는 지난해 말 철도파업 사태때 박기춘 민주당 의원과 함께 중재안을 이끌어내는 등 정치력을 보였고, 박지원 새정치연합 의원·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 등 야권의원들과도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김 대표는 그러나 임기 초반부터 독자 행보를 강하게 표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가 여권의 차기 유력 대권주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는 점에서 ‘현재 권력’인 박 대통령과의 관계가 대립 일변도로 치달을 경우 여전히 당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친박계로부터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전당대회에서 2위에 그친 서청원 의원과의 갈등을 예고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미 지난 2010년 전당대회 1·2위를 차지했던 안상수·홍준표 후보가 전대 이후 극심한 갈등을 겪었던 전례가 있다. 두 사람은 지난 11일 마지막 합동연설회에서 “어떤 일이 있어도 김무성 당 대표는 막겠다”는 서 의원과 “(서 의원은) 구태정치의 전형이자 정치 적폐”라는 김 의원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기도 했다.

이날 전당대회 직후에는 “존경하는 서청원 선배님이 도와 주셔야한다”, “김무성 대표가 든든하다”라며 두 사람 모두 화해의 제스처를 취했지만, 향후 정치적 변곡점마다 친박과 비박 간 잠재된 권력투쟁이 수면 위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갈등은 잠재해 있다는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