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CS 등 급한 불 껐지만 '슬로모션 위기' 경고 나와
by장영은 기자
2023.03.30 15:07:53
WSJ "장기간 경제 갉아먹는 슬로모션 위기 올수도"
중소·지역은행 유동성 압박으로 신용경색 가능성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와 크레디트스위스(CS) 위기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장기간에 걸쳐 시스템을 갉아먹는 위기가 서서히 진행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 미 지역은행인 실리콘밸리은행은 보유 중인 국채 가격이 급락하면서 유동성 위기가 불거지자 급격하게 붕괴됐다. (사진= AFP) |
|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현지시간) SVB가 무너진 것과 같은 이유로 몇년 안에 많은 중소 은행들이 추가로 파산하거나 다른 은행에 인수될 수 있으며 이는 신용경색과 같은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통상적인 의미의 금융위기는 아니지만 최종 결과는 같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수십년 동안 세계 경제를 강타한 금융 위기가 빠르고 급격하게 진행됐다면, 이번에는 슬로모션(Slow-Motion·느린 움직임) 위기라는 다른 양상의 국면이 펼쳐질 수 있다는 진단이다.
WSJ은 최근 상황이 1980∼1994년 미국에서 3000여곳의 저축대부조합(S&L)이 문을 닫거나 구제금융을 받은 ‘S&L 사태’와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당시 위기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대폭 인상하면서 시작됐다. S&L과 은행들은 낮은 금리로 제공했던 대출과 고금리를 줘야 하는 예금 사이에 끼어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이번 미 중소 은행들의 위기도 연준이 가파르게 기준 금리를 인상하면서 촉발됐다. 은행들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이어진 제로금리 시기에 미 국채와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채권 보유량을 늘렸으나, 금리 상승으로 채권 가치가 급락하자 유동성 위기에 노출됐다.
아미트 세루 스탠퍼드대 재무학과 교수 등은 금리인상 여파로 SVB보다 더 큰 자산가치 손실률을 기록한 미국 은행은 전체의 11%, 500여곳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소규모·지역 은행들은 예금 이탈에 따른 어려움도 겪고 있다. 연준에 따르면 3월9~15일 소규모 은행에서 1200억달러(약 155조8800억원)의 예금이 빠져나가고 대형 은행들에는 660억달러(약 85조7300억원)의 예금이 새로 유입됐다. 예금자보호 한도액인 25만달러(약 3억2500만원) 이상의 저축을 보유한 개인이나 기업들이 ‘더 안전한 대안’을 찾아 돈을 옮기고 있다는 것이다.
온라인 뱅킹의 대중화도 은행 위기 우려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연방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인터넷·모바일뱅킹을 이용하는 은행 고객의 비율은 2017년 52%에서 2021년 약 66%로 급증했다. 불안 심리가 확산될 경우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빠른 속도로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이 벌어질 수 있다. 이번 SVB의 초고속 붕괴가 이를 증명했다.
다만, 지금은 과거만큼 위험한 상황은 아니라고 WSJ은 덧붙였다. 과거 금융위기 때는 금리보다 채무불이행(디폴트)이 더 크게 작용했는데, 현재 은행들의 자산 건전성이 이전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S&P 글로벌 분석 결과 지난해 3분기 기준 은행들이 보유한 증권 중 연방정부의 보증을 받는 안전 자산은 86%로 2008년 71%에 비해 비중이 크게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