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혁신센터에 '삼성캠퍼스'..창조경제 2.0은 대기업과 스타트업 동행

by이승현 기자
2014.09.15 16:42:56

삼성, 대구혁신센터에 ''C-LAB'' 설립·운영..개발자에 일대일 멘토링
대구창조경제단지 조성에도 900억 투입, 정부 "대기업 도움받아 스타트업 육성"

[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박철근 기자 이승현 기자] 지난 4월 말 출범한 대구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앞으로 삼성그룹과의 연계를 통해 핵심인 창업지원 기능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 스타트업(창업초기 기업)과 벤처기업 등은 이곳에서 삼성 직원에게서 직접 멘토링을 받을 수 있고 해외진출 지원의 기회도 제공받는다.

정부는 앞으로 총 17개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들에 대기업들의 생산망과 마케팅망, 기술, 자금력 등 강력한 역량을 활용해 스타트업 육성 등 창조경제 성과내기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대구 무역회관에서 열린 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 출범식에 참석해 센터 안의 ‘크리에이티브 랩(C-Lab)’ 개소식에서 권영진 대구시장,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 등과 함께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대구 혁신센터는 정부의 ‘지역혁신센터-대기업 일대일 연계’ 방침에 따라 실제 대기업의 도움을 받게 된 첫 번째 사례이다. 15일 대구 혁신센터에는 창업·벤처기업 등이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테스트, 시제품 제작 등을 수행하고 삼성직원에게 멘토링도 받을 수 있는 한국형 구글캠퍼스인 ‘크리에이티브 랩’(C-LAB)이 새로 들어섰다. 대구 혁신센터(김선일 센터장)는 대구무역회관 1층과 3층에 716.4㎡(약 216.7평) 규모다.

삼성 직원은 앞으로 이곳에 2명 이상 상주하면서 노하우를 전수할 계획이다. 우수 벤처기업 등에 대해서는 기술구매 및 지분투자 등도 연계해 지원한다.

C-LAB에는 아울러 개발자들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PC(워크스테이션)와 테스트용 스마트폰, 스마트 TV, 3D 프린터 등 모두 236점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기자재도 구비됐다.

미래부 관계자는 “최신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삼성전자 개발자와 함께 연구하고 개발된 기술의 시제품 제작과 평가, 판로개척 등을 제공하는 연구개발 공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의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도 대구 센터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삼성전자(005930)는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등을 도입, 대구 지역에서 사업화 가능성이 있는 벤처 및 중소기업들을 선발해 해외진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여기에 선정되면 10만~15만 달러의 종잣돈을 지원받아 3개월간 빠르게 시제품을 개발하고 투자유치도 지원받는다.

삼성은 이와 함께 대구 북구 칠성동 옛 제일모직 부지(11만3061㎡·약 3만4000평)에 총 900억 원을 투입해 대구창조경제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창업보육센터와 SOHO 사무실, 예술창작센터 등 19개동의 시설이 들어서며 내년 7월 착공해 2016년 말 완공될 계획이다. 이 종합단지가 완성되면 대구 혁신센터도 이곳으로 옮긴다.

이재용 삼성 부회장은 이날 대구창조경제단지 예정부지에서 “기록을 보면 박정희 전 대통령께서 이곳 제일모직을 세 번 방문하셨다”며 삼성그룹과 박 전 대통령의 각별한 관계를 소개하기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곳이) 젊은이들에게 굉장이 희망을 주는 곳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잘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한 삼성과 대구시는 앞으로 5년간 각각 100억원씩 부담해 총 200억원 규모의 청년벤처창업지원 전용펀드도 조성키로 했다.

지역 창조경제 조성방향. 청와대 제공.
정부는 이번 대구 혁신센터에 이어 대전 혁신센터에는 SK그룹 연계를 이끌어냈다. 또한 다음달부터 내년 초까지 ‘부산-롯데’, ‘경남-두산’, ‘인천-한진’, ‘경기-KT’, ‘광주- 현대차’, ‘전북-효성’, ‘전남-GS’, ‘충북-LG’, ‘충남-한화’, ‘경북-삼성’, ‘강원-네이버’ 등 대기업과 연계된 11곳의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줄줄이 설립할 계획이다.

대기업의 지역 혁신센터 참여 유형은 크게 △아이디어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패키지로 지원 △기업의 보유자원과 국내외 네트워크 활용한 지원 △협력사와 지역 혁신기업, 연구기관간 상생협력 △사물인터넷·바이오·헬스케어 등 지역 전략산업 육성 등으로 나뉜다.

정부는 이러한 지원 시스템이 원할히 작동하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예산 및 정책 지원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 및 벤처기업이 대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대기업 입장에서도 중소기업과의 상생경제에 기여하는 ‘윈-윈의 관계’라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