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 줄이려면?’…친환경 늘리고 원전도 고려

by김형욱 기자
2019.01.16 13:17:52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앞서 다양한 해법 모색
미세먼지 많은 석탄 줄이고 친환경 LNG 늘릴 가능성 커
미세먼지 없는 값싼 전력 공급..원전 추가건설 가능성도

석탄화력발전소 2기가 있는 충남 보령화력본부. 연합뉴스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미세먼지·온실가스 배출의 주 요인으로 꼽히는 석탄화력발전을 줄이기 위해 민간 자문단과 머리를 맞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르면 이달 중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민간 자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해 공식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전력수급계획은 정부가 미래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중장기 계획으로 2년에 한 번씩 향후 15년 계획을 수립해 발표한다. 이번에 수립하는 9차 계획은 2019년부터 2033년까지를 아우른다.

정부는 앞서 발표한 8차 계획(2017~2031년)에서 원자력발전과 석탄화력발전 비중을 줄이고 수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늘리기로 했다. 2017년 △석탄 45.4% △원자력 30.3% △LNG 16.9% △신재생 6.2%에서 2030년 △석탄 36.1% △원자력 23.9% △LNG 18.8% △신재생 20.0%로 바꾼다는 것이다.

9차 계획 수립 과정에선 석탄 비중을 더 줄이는 방안을 모색한다.

산업부는 올해 업무보고에서 “노후 석탄의 친환경 연료 전환, 환경급전 본격 시행 등 석탄발전 축소로 미세먼지와 온실가스의 추가 감축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또 지난해 7월 ‘정부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에서 국내 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량을 5780만t으로 이전 계획(2370만t)보다 크게 높여 잡았다. 9차 계획에서 이를 반영하려면 석탄 비중을 더 줄이는 수밖에 없다.



현실적으론 석탄을 줄이는 대신 생산단가가 높은 LNG 비중을 늘릴 가능성이 거론된다. 석탄발전은 대부분 공기업이 운영해 정부 통제가 상대적으로 쉽다. 30년 이상 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지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중 일부를 LNG·우드펠릿 등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연료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그러나 줄어든 발전량을 메울 방안이 현재로선 마땅치 않다. 원자력발전 계획을 단기간 내 바꿀 수 없고 신재생에너지는 2030년 20%란 기존 계획 달성도 현실적으론 쉽지 않다.

이 과정에서 ‘환경급전’ 도입도 검토한다. 우리나라 전력공급체계는 생산단가가 낮은 원자력과 석탄을 우선 가동 후 전력이 부족할 때 LNG와 유류 발전기를 돌리는 방식이다. 그런데 생산단가에 온실가스 배출권이나 약품 처리, 석탄폐기물 등 환경 비용을 추가하면 석탄과 LNG 생산 단가의 가격 격차가 줄어 LNG 발전기를 더 돌릴 수 있다.

에너지 공급을 줄이기 위해 산업계의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는 방안도 함께 모색한다.

논의 과정에서 원전업계의 원전 추가건설 목소리도 나올 수 있다. 현 정부는 2022년까지 총 원전 가동을 28기로 5기를 추가하는 것 외 추가 건설 계획을 중단했다. 이대로면 원전 발전량은 2022년을 정점으로 50여 년에 걸쳐 계속 줄어들게 된다.

안전성에 대한 우려와 핵폐기물 문제 때문이다. 그러나 미세먼지 없이 전력 수요를 안정적으로 충당하려면 단가가 낮은 원전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게 원전업계의 주장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서 발표한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따라 석탄화력발전을 줄인다는 큰 방향 아래 다양한 해법을 논의할 것”이라며 “석탄화력발전도 아예 시설을 폐쇄할 수도 있지만 시설은 놔둔 채 가동률을 줄이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2017년 발표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