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카, 콜롬비아 실향민에 안정적 거처 마련…1만명 혜택

by정다슬 기자
2022.07.01 18:25:07

실향민 임시거주지 합법화
지역정부에 지원책 실현 위한 정책 지원

지난달 30일(현지시각) 콜롬비아 노르테데산탄데르주에서 개최된 ‘콜롬비아 내전 피해 난민 재정착 지원사업 종료식’에서 KOICA가 지원하여 건축한 스카나브리니(Scanabrini) 마을 주민센터 앞에서 거주민들과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코이카 제공)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 수십 년간 지속된 내전으로 삶의 터전을 빼앗긴 콜롬비아인들이 자국 내에서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코이카(KOICA, 한국국제협력단)는 지난난 30일(현지시각) 중남미 콜롬비아 북부 노르테데산타데르주(州) 쿠쿠타시(市)에서 현지 정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콜롬비아 내전 피해 난민 재정착 지원사업’의 성과를 발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콜롬비아 내전으로 고향을 떠난 콜롬비아 실향민들을 위한 안정적인 거주지를 만드는 데 중점을 뒀다.

콜롬비아에는 1964년 발발한 내전으로 26만명 이상의 내전 사망자가 발생했고 750만명이 실향민으로 전락했다. 고향을 떠난 실향민들은 여러 지역에 판지, 목재, 플라스틱 등 폐기물을 모아 판잣집을 짓고 비공식 정착촌을 형성했다. 임시방편으로 주거와 생계를 해결하다 보니, 정착촌 주민들은 주거지 이전 신고·등록을 하거나 세금을 낼 생각도 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전기나 수도 등 필수 공공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아동들은 교육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콜롬비아 정부는 이들을 위한 지원정책을 2011년에 수립하고, 실향민을 지원하는 ‘피해자 지원 및 보상을 위한 총괄 기구’(Victims Unit 및 SNARIV)도 세웠다. 그러나 실제로 실향민을 지원해야 할 책임이 있는 현지 지방정부의 역량이 부족했다. 비공식 정착촌에 거주하는 실향민 수와 가구별 소득 수준 등 기본 정보를 파악하기조차 어려웠고, 이를 중앙정부의 실향민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지 못해 배정받은 예산조차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다.

코이카는 유엔난민기구(UNHCR)와 함께 현지의 지방정부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법에 보장된 실향민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 보고서 작성 등을 교육했다. 전담 직원을 지정하여 실향민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개선 계획을 세워 시에 제안하도록 했다. 그 결과 6곳의 임시 정착촌에 대한 지원이 현지 지방정부의 연간계획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이들과 함께 사업 지역을 시찰하며 세대 수, 지형, 교통 등 기본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임시 정착촌이 합법적인 거주 지역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현지 정부 내 절차를 거쳐 합법적인 거주 지역으로 인정받게 되면, 임시 정착촌에도 상하수도, 가스가 들어오고 도로, 학교, 병원 등 공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자국 내 실향민들 대부분이 비공식 거주지에 머무르며 기본적인 공공 서비스에서 소외돼 왔다. 대다수의 젊은 세대 실향민들은 생계 등의 사유로 도심 근처에 계속 머무르는 것을 선호하다 보니,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또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코이카는 이런 현실을 고려해 이들의 거주지를 법적으로 인정하는 일은 실향민들에게 새로운 삶의 터전을 일굴 수 있는 현실적인 해결책이라고 판단했다.

이 밖에도 코이카는 정착촌의 인프라 개선을 위해 마을 내 댐과 주민자치센터 등을 건립하여 지역 주민 6574명이 혜택을 보도록 하고, 155개의 취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경제 활동을 지원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는 지역사회의 집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대안형 장기거주 쉘터(Refugee Housing Unit, RHUs) 34개를 짓고 위생키트 4100개를 제공했다.

정착촌에서 생활하고 있는 엘리슨(Elison, 56세) 씨는 “합법화 이후 가장 달라진 점은 정부에서 비공식 정착촌을 공식적으로 인정함으로써, 거주민들의 신용(credit)이 확보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거주하는 집을 등록하고 구매하여 자녀들이 안심하고 자랄 수 있는 거주지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승철 코이카 콜롬비아사무소 부소장은 “내전으로 피해를 입은 콜롬비아 실향민이 합법화된 정착촌에서 다시 일어서길 바란다”라며 “이번 사업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목표 16인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촉진, 사법 접근성 확보, 모든 차원에서 효과적이고 신뢰할 수 있고 포용적인 제도 구축’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코이카는 콜롬비아에서 올해 333억 원의 예산을 들여 분쟁 피해지역의 지속 가능한 평화구축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분쟁 피해지역 여성의 경제적 자립 사업’과 ‘평화구축 거버넌스 역량강화 사업’ 등 프로젝트를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