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머지` 이후 비트코인의 운명은? [이정훈의 코읽남]

by이정훈 기자
2022.09.13 17:43:31

이더리움, 15일 목표 `머지` 업그레이드…PoS로 전환
"에너지 소비 막대한 PoW 왜 쓰냐" 비트코인 압박 고조
美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도 "최악의 경우 PoW 막아야"
비트코인 PoS 전환 쉽지 않아…탈중앙화 이념 지킬 듯
클린에너지 활용한 채굴 늘리고 지배구조 장점 홍보해야

[코인 읽어주는 남자=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시가총액 기준으로 2위 가상자산인 이더리움이 역사적인 머지(Merge) 업그레이드를 눈 앞에 두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가장 본질적 부분인 거래검증 방식을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는 이 업그레이드는 오는 15일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머지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후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하고 나면 사실상 PoW 진영에 홀로 남게 되는 비트코인이 어떤 운명을 맞게 될 지가 관심사인데요, 이를 둘러싼 전망이 벌써부터 여기저기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가상자산분야에서 독립 연구원으로 잘 알려진 카일 맥도널드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이더리움이 머지 업그레이드를 통해 에너지 집약적인(=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거래검증 방식인 PoW를 벗어나 에너지 친화적인 PoS로 전환하고 나면, 투자자들이나 규제당국은 비트코인에 대해 굳이 PoW를 고집하느냐며 압박을 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비트코인은 예전부터도 엄청난 에너지 소비로 인해 환경 행동주의자들이나 각국 정부로부터 비판을 받았다”고 전하며 “이더리움과 달리, 비트코인은 PoW를 포기하고 PoS로 넘어가도록 결정할 수 있는 조정력을 갖고 있기 않기 때문에 가장 먼저 규제를 받을 수 있다”고 점쳤습니다.

이는 PoW에 비해 PoS 방식은 에너지 소비량을 엄청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더리움 재단에 따르면 PoS로 전환한 이후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에너지 소비량을 기존에 비해 99.95%나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PoW가 1000만개에 이르는 그래픽 처리장치로 가능한 한 많은 난수를 생성하는 시스템인 반면 PoS는 에너지 소비가 매우 낮은 수천대 컴퓨터만으로 실행 가능한 시스템이니 그런 것이죠.

특히 지난주 미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관실(OSTP)이 내놓은 `미국 내 가상자산의 기후변화와 에너지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압박 수위가 만만치 않을 것임을 잘 보여줬습니다.

OSTP는 “가상자산 채굴과정에서의 탄소배출을 줄이려는 다른 조치들이 성공하지 못한다면, 에너지 집약적인 거래검증 방식인 PoW를 쓰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했는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 가상자산 산업 운영에 들어가는 전력량이 미국 모든 가정에서 쓰는 컴퓨터 전력량과 맞먹는다는 겁니다.

실제 미국 전체 전기 사용량의 0.9~1.7%가 블록체인 기반 토큰과 대체불가능토큰(NFT) 운영에 들어간다는 것이고, 가상자산 관련 활동에서 연간 2500만~5000만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는 겁니다. 이는 미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0.4~0.8%를 차지하며 미국 내 경유 기차에서 발생하는 배출량과 동일한 수준입니다.



가상자산과 비트코인, 이더리움의 글로벌 에너지 소비량 비교


이에 OSPT는 가상자산으로 인한 환경 파괴를 막기 위해 환경청(EPA), 에너지부(DOE)와 같은 연방 정부기관이 지역 의원들과 협력해 가상자산 기술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 기업들이 환경에 대한 책임을 다하도록 해야 하며, 전력회사와 가상자산 채굴자들로부터 전력 사용에 관한 자료 제출을 의무화하자고 제언했습니다. 그러고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PoW 방식의 채굴을 금지하자는 겁니다.

이는 단순한 엄포에 그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최근 뉴욕주는 PoW 방식의 채굴 라이선스 발급을 2년 간 유예하기로 하면서 채굴업체들이 하나 둘 이전하고 있고, 리플 공동 창업자인 크리스 라슨은 비트코인의 PoS 전환을 압박하는 캠페인에 나서고 있으니 말입니다.

문제는 이런 압박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이 곧바로 PoW를 포기하고서 PoS로 전환하긴 쉽지 않을 겁니다. 실제 비트코인 진영은 여전히 PoW를 고수하겠다는 입장인데, 네트워크 상의 각 노드들로부터 51% 이상 지지를 얻어내기란 기술적으로 힘들어 보입니다.

또 PoS로 전환하려는 이더리움을 둘러싼 우려도 상존합니다.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하면 소수의 스태이킹 풀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함으로써 보안상 취약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구요. 최근 미 재무부가 해커들이 훔쳐간 가상자산을 세탁하는 경로 활용했다면서 토네이도 캐시의 월렛 주소들을 특별지정 제재 대상국(SDN)에 추가한 것처럼 규제당국의 움직임에 따라 이더리움의 안전성과 탈중앙화 개념도 위협 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결국 비트코인이 사회적 압박을 못 이겨 PoS로 전환하고자 한다면, 자칫 네트워크의 보안 상에 큰 결함을 드러낼 수 있는 만큼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프로토콜 자체의 실패로 이어질 리스크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비트코인이 계속 지금과 같은 막대한 에너지 소비에 대해 귀를 막고 있을 순 없는 노릇입니다. 바야흐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화두로 떠오른 시대인 만큼 비트코인 스스로가 ESG에 부합할 수 있는 노력에 온 힘을 쏟아야 합니다.

다행스러운 건, 중국에서의 채굴 금지 조치 이후 이미 북미와 남미 등지에서는 이미 채굴업자들이 수력이나 지력, 신재생에너지 등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소비되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은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ESG 중 환경부문에선 약점을 노출하더라도, 탈중앙화 이념을 구현하는 PoW가 지배구조 상으로는 더 높은 가치를 가진다는 점을 적극 홍보해야 할 겁니다.

지금으로부터 14년 전 당시 곪아 있던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안으로 등장하고 각광 받았던 존재가 바로 비트코인인 만큼, 그 본질과 존재가치를 유지하면서도 지금 전 세게가 직면한 또 다른 경제적, 사회적 문제 해결에 스스로 앞장 서야만 할 때인 것은 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