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부도 위기 직면한 신흥국·개도국 급증

by방성훈 기자
2023.02.20 15:43:49

IMF 특별인출권 대출액 작년말 200조원 육박
신흥국 상당수 디폴트 위기…성장둔화·강달러 등 영향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서 최대 화두 전망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채무불이행(디폴트) 등 국가부도 위기에 내몰리는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이 급증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이 20일 보도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인플레이션, 금리인상, 강달러 등의 위기가 연쇄적으로 덮친 탓으로 풀이된다.

(사진=AFP)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에 따른 대출액을 엔화로 환산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약 20조 2000억엔(약 195조 1825억원)으로 집계됐다. IMF는 SDR을 통해 부채상환 중단 위기에 놓인 국가에 무담보로 긴급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SDR 대출액이 20조엔을 넘어선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는 부채를 갚지 못해 IMF에 의존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닛케이는 선진국이 저소득국에 양도성 융자를 지원하는 ‘빈곤 감축·성장 트러스트’(PRGT) 규모 역시 10년 전의 약 3배로 불었다고 부연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신흥국의 정부 부채 잔고는 작년 9월 기준 24조 5000억달러(약 3경 1720조원)에 달한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지난달 “저소득국가들 가운데 15%는 채무초과 상태이며, 45%는 높은 리스크를 안고있다”고 우려했다. 또 “신흥국 중 25%가 디폴트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들 국가의 채무위기를 방치하면 세계 경제나 금융시장에 부정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스리랑카는 지난해 5월 디폴트에 빠졌고, 파키스탄도 스스로 디폴트나 다름없는 상황이라고 공공연히 주장하고 있다. 잠비아, 말리 등 아프리카 빈곤 국가들로도 디폴트가 번지고 있다. 최빈국 뿐 아니다. 채무불위행 위기에 직면한 중소득 신흥국도 늘어나는 추세다. 현재 터키, 아르헨티나, 이집트 등이 IMF의 지원을 받고 있다.

문제는 신흥국·개도국의 성장률이 떨어져 재정악화를 극복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신흥국·개도국의 올해 실질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4%로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다. 지금보다 재정상태가 양호했던 2000~2019년 평균 5.6%와 비교해 크게 낮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에 따른 달러화 강세까지 겹쳐 부담을 키우고 있다. 신흥국들의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해외 투자자금이 유출되고, 이는 추가적인 통화가치 하락을 야기한다. 해당 국가는 더 비싼 가격에 달러를 사들여 부채를 상환해야 한다.

신흥국·개도국의 재정위기는 오는 23일 인도에서 개막하는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닛케이는 “의장국 인도는 세계 최대 대출국인 중국을 포함해 선진국들에 채무면제를 요구하는 제안서를 준비하고 있다”며 “이번 G20 무대에선 신흥국을 아군으로 끌어들이려는 서방과 중국 간 치열한 줄다리기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