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기덕 기자
2020.06.25 14:31:47
독과점 배달시장 질서 확립 위해
새로운 공공앱 vs 기존 민간앱 활용
타시도 이용 가능 여부·수수료 등 달라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국내 배달앱 시장은 배달의민족·요기요·배달통 등 3개 민간업체가 99%를 점유하고 있다. 앞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거대한 민간 사업자가 지배한 배달앱 시장을 ‘독과점 횡포’로 규정, 이를 바로잡기 위해 공공개발앱을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에 박원순 서울시장이 내놓은 ‘제로배달 유니온’도 불공정한 배달시장 질서를 바로 잡겠다는 목적은 같지만, 운영 주체나 예산, 수수료 등에서 다소 차이를 보여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서울시가 9월부터 시작하는 제로배달 유니온은 페이코, 놀장, 먹깨비, 멸치배달, 만나플래닛, 로마켓, 주피드, 띵동 등 10곳의 중소 배달앱에서 서울사랑상품권(제로페이)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들 배달앱에 결제방식만 새롭게 추가하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쓰던 앱 그대로 서울사랑상품권만 선택해 결제하면 된다.
이를 통해 신규 결제 수단과 가맹점을 확보한 배달 플랫폼사는 마케팅 비용 등을 줄어들기 때문에 소상공인에게 받는 배달 중개수수료를 2% 이하로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앞서 올 4월 이재명 경기지사 개발을 약속한 공공 배달앱과는 성격이 다르다. 말그대로 서비스 주체가 공공, 민간으로 구분된이다. 서울시는 민간 배달 플랫폼 업체에 제로페이 가맹점 등을 연결하는 중재자 역할을 한다.
또한 경기도의 공공배달앱은 도 차원의 공공 예산을 투입해 신규 앱을 만들어야 하지만, 박원순표 배달앱은 기존 민간 배달앱을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시는 제휴를 맺은 10개 배달 플랫폼사 중 가입을 희망하는 업체를 선택하면 가맹 가입과 배달앱 프로그램 설치 등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