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구조조정 박살내자”는 조선노연..경영정상화 발목 우려
by최선 기자
2016.10.25 14:19:31
원·하청 노조 결집해 투쟁노선 강화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 대책에 대한 비판도
“업계 생사기로 갈린 상황에 대한 노동계 공감도 필요”
| 25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조선업종노조연대, 조선하청노동자 대량해고 저지 대책회의 관계자들이 구조조정 저지와 고용보장을 위한 원·하청노동자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이데일리 최선 기자]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빅 3 조선업체가 일제히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조선 노조와 불협 화음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들 조선 노조는 정부가 내놓은 고용유지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사측은 “자체적으로 몸집을 줄이면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 노조가 발목을 잡고 있다”며 비판했다.
조선업종 노동자연대(조선노연)는 25일 서울 신문로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구조조정 저지와 고용보장을 위한 원·하청 노동자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노동자 대량해고를 불러온 정부와 재벌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며 “정책 실패, 경영 실패의 책임을 지는 자가 단 한명도 없다. 노동자가 아닌 재벌을 구조조정 해야한다. 정책실패의 책임은 박근혜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조선노연은 현대중공업(009540), 대우조선해양(042660), 삼성중공업(010140) 등 대형조선사와 중소 조선사 등이 연대하기 위해 결성한 단체다. 조선노연은 그동안 사측의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 반발해왔다. 향후 더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예고되자 하청업체 노조와 힘을 합쳐 정부에 대해서도 각을 세우는 방식으로 투쟁노선을 강화했다.
현대중공업 노조위원장인 백형록 조선노연 공동의장은 “정부가 제대로 된 고용유지 정책을 발표해야 한다. 근무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지 못하는 상황을 더이상 두고 볼 수 없다”며 “투쟁을 정부에 대한 투쟁으로 전환했다”고 전했다.
조선노연 등 노동계는 이와 같은 조선업계 구조조정으로 내년까지 최대 6만3000명이 현장을 떠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2014년말 이후 현대중공업에서는 원·하청을 포함해 1만6700명이 회사를 떠났고, 대우조선에서는 지난해말 이후 6000명 가까운 인력이 직장을 잃었다는 것이 조선노연 측 설명이다.
실제 현대중공업은 조선과 해양 부문만 남기고 비조선사업 분야인 전기전자시스템사업부, 건설장비사업부 등을 분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현재 인력의 20% 가량이 현대중공업의 직접 고용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한 권오갑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키며 2차 구조조정의 시작을 예고하기도 했다.
대우조선의 경우 비상경영에 들어가 올해 임직원 수를 20~30% 줄일 계획이다. 1만2600여명 수준인 인력을 1만명 수준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최근 희망퇴직자 모집에서 약 500명이 신청을 했고, 500여명의 추가 희망퇴직 신청자를 모집 중이다. 사내 모든 부서장급 임직원 200명은 회사경영 정상화를 지원하겠다면 희망퇴직 신청을 내기도 했다.
구조조정 2라운드가 예고된 상황에서 이달말 정부가 발표할 예정인 조선업종 구조조정 관련 컨설팅 결과는 노동계의 고용불안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조선노연 관계자는 “맥킨지라는 외국계 컨설팅 회사의 이름으로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하고 수많은 노동자를 길거리로 내쫓으려 한다”며 “우리 노동자들은 내쫓으면 단호한 응징할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원·하청이 따로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조선노연은 정부의 조선업 고용유지 지원제도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시행 100여일이 지난 현재 무급휴업·휴직자 지원을 신청한 경우는 단 한 건도 없었고,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확인을 청구한 이들은 38명에 불과한 ’속 빈 강정‘과 같은 정책이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런 조선업계 노조들의 반발은 빅3 유지냐 빅2 체제 개편이냐가 거론될 정도로 악화된 조선업 경영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글로벌 조선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은 지난 20일 ‘제25회 세계조선소대표자회의(JECKU)’에서 저성장·저유가 기조, 보호무역주의, 환경 관련 국제규정 등이 조선시황 회복을 방해하고 있다며 과잉공급을 해소하고 고가 제품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당장의 생계를 우려해 인력 구조조정에 반발하는 노조의 방침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조선업계는 초를 다툴정도로 신속한 구조조정에 나서야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위기에 처해있다는 사실을 공감해줄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