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피해 40% ‘소하천’서 발생…유량 자동계측기술 도입

by송이라 기자
2018.09.17 12:00:00

계측시설·관리인력 부족…CCTV 기반 계측기술 개발

그림=행정안전부
[이데일리 송이라 기자] 홍수피해액의 40% 가량이 소하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정부가 소하천 특성에 맞는 자동계측기술을 도입한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소하천에 최적화된 ‘CCTV 기반 자동유량계측기술’을 도입해 실시간 상황대응을 위한 현장영상을 제공하고 수위·유속 정보를 수집해 유량을 계측하는 시스템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최근 10년간(2007년~2016년) 전체 하천에서 발생한 홍수피해액의 40.3%(3116억원)가 소하천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국가·지방하천에 비해 소하천의 홍수피해 발생빈도가 높음데도 안전관리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계측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또 전국 2만2823개소에 달하는 소하천을 관리하는 지자체 담당공무원 수가 매우 부족해 기존의 사람이 직접 정보를 수집하는 계측장비로는 수심, 유량 등 관련 통계자료 관리에 한계가 있다. 실체 하나의 기초지자체가 100개소 이상의 소하천을 관리하고 있다.



여기에 기존의 접촉식 계측방법은 홍수 시에 깊어진 수위와 빨라진 유속 때문에 하천에 접근이 어려워 계측자체가 불가능했다.

이번에 도입하는 ‘CCTV 기반 자동유량계측기술’은 표면영상분석 기법을 활용해 표면유속, 유량 측정 및 위험수준을 경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연속적인 자료 수집이 가능하다. 유량계측 자료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실효성 검증을 위해 시범적으로 4개의 소하천에 설치해 실측을 통한 유량 산정 방법으로 계측장비의 정확도를 검증했다.

올해는 소하천 정비가 계획된 25개 시·군의 31개 소하천을 대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행안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기술 확산을 위해 설치 대상 소하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기술의 고도화를 연구하는 등 지속적 발전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소하천의 흐름 특성을 반영한 정비계획 수립과 인명피해 방지를 위한 예·경보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