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홍수위험지도 무용론…피해 예측했지만 못막았다

by김경은 기자
2023.07.17 16:26:42

홍수위험지도, 오송 지하차도 피해 정확히 예측
정작 참사 피해는 못막아 반복되는 무용론
트래픽 문제로 웹페이지 지도 확대도 제한
모바일 통해 확대 가능하지만 선명도 떨어져

홍수위험지도 홈페이지(좌측)에서 최대로 확대한 화면에서는 붉은 원으로 표시된 오송 지하차도의 침수 가능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모바일 화면(우측)에서는 오송 지하차도의 침수위험이 붉게 표시되어 제방 유실 등의 극한 상황에서 침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지역이란 점을 알 수 있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 지하차도 침수사고 원인으로 미호천교 제방 유실이 지목되면서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단 지적이 나온다. 제방의 유실과 월류 등 극한 상황을 가정해 지역의 침수 가능성을 보여주는 ‘홍수위험지도’가 피해지역을 정확히 예측했기 때문이다.

홍수경보가 발령되고 주변 지역의 피해예측 정보가 존재하지만, 교통통제 등 선제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인재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이데일리가 17일 홍수위험지도와 사고피해 지역을 대조해본 결과 오송 지하차도는 100년에 한번 내릴 수 있는 기록적 폭우에서 침수심이 5m 이상에 달해 가장 위험한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폭우가 내릴 때 하천의 범람과 도심의 침수 가능성을 보여주는 ‘홍수위험지도’는 정부가 100억여원을 들여 만든 서비스이지만 정작 폭우 피해는 막지 못했다.

국민 안전과 직결된 정보를 구축해 놓고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만큼 관련 기관에 대한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예측이 적중했지만 대중교통 노선변경이나 차량통제 등 선제 대응이 없었단 지적이다.



홍수위험지도 웹사이트에서 지도가 확대되지 않아 구체적으로 침수 위험지역을 파악하기 어려운 점도 논란이다. 환경부는 지난해 물난리로 접속자가 몰려 서버가 차단되자 지도 확대 기능을 제한했다. 최대한 확대하더라도 오송 지하차도의 침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모바일을 통해서는 세부 지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확대가 가능해 오송 지하차도의 침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명의 확인 등이 어렵고 선명도도 떨어진다. 특히 모바일은 화면의 크기가 작고 상세 검색 기능이 없어 활용도가 웹사이트에 비해 떨어진다. 지자체 등 해당 공공기관 담당자들의 활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관계자는 “해당 지자체나 공공기관에서는 더 잘 볼 수 있도록 선명한 책자 지도가 제공되어 있다”면서 “웹페이지는 트래픽 문제로 지난해 서버 접속이 막혀 확대를 제한해 놓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예산의 문제로 선명도와 속도의 문제에 대한 제약이 있지만 차츰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이 관계자는 부연했다.

아울러 지난 2001년부터 현재까지 국가 및 지방하천에 대한 지도는 완성했지만, 도시침수지도 일부는 지도 제작이 온전하게 구축되지 않은 상태다.

도심침수지도는 하천이 범람하지 않는데도 도심이 물에 잠기는 일이 잇따르자, 2021년 초부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만들기 시작했다. 환경부는 전국 기준으로 절반 남짓 작성된 지도를 내년까지 완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