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강화에도... 올해 생산가능인구 주택거래 역대 최대, 왜?
by김기덕 기자
2018.07.30 11:43:49
생산가능인구 1000명당 47.7건… 4년 연속 40건 넘어
매매거래는 줄었지만, 분양권 거래 여전히 활발해
| 전국 생산가능인구 천명당 주택거래(자료: 통계청, 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
|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정부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규제 강화에도 올해 생산가능인구(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15~64세 인구)의 주택거래는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울 전망이다. 대출, 세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주택 매매 거래는 갈수록 줄고 있지만, 초기 투입 자금 부담이 적은 분양권 시장으로 수요자들이 몰린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30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업체 직방이 한국감정원과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전국 생산가능인구 1000명당 주택거래는 47.7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이전 최대치인 지난해 46.8건에 비해 0.9건 늘어난 수치다.
올 들어 주택 매매거래 감소와 달리 전체 주택거래는 2006년 이후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2015년 45.7건의 거래가 이루어진 이후 4년 연속 40건 이상 거래가 성사되고 있다. 주택거래는 매매 및 분양권, 증여·상속, 교환 거래 등 소유권 이전이 발생하는 거래를 뜻한다.
특히 올 들어 아파트 분양권 등의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전체 주택거래 증가에 일조하고 있다. 이는 분양권 매물이 풍부한 상황에서 매매에 비해 매수 비용 부담이 적고, 신규 아파트 프리미엄 기대에 따른 청약쏠림 현상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생산가능인구 천명당 주택거래가 서울은 38.1건에서 37.7건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인천ㆍ경기와 지방은 증가하거나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시를 제외하고 올해 생산가능인구 1000명당 가장 많은 거래가 예상되는 지역은 광주(61.4건)가 꼽혔다.
반면 정부의 수요억제 대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매매 거래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올해 생산가능인구 1000명당 주택 매매거래는 23.3건으로 2013년 22.7건 이후 가장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0년 21.6건 △2012년 19.7건 △2013년 22.7건 다음으로 가장 적은 거래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분양권 거래 증가는 단기ㆍ레버리지 효과에 기댄 투기적 수요에 따른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면서 “주택 보유나 거주 보다는 단기 투자성 거래의 경우 금리인상 등의 경제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만큼 투자자와 정책당국의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