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보험시대]④헬스케어 산업, '나는' 선진국 '기는' 한국

by노희준 기자
2017.11.01 12:00:00

年 4% 성장하는 세계 헬스케어 시장 속 첫 걸음 떼는 韓

<자료=보험연구원>
[이데일리 노희준 문승관 기자] 매일 건강개선목표를 달성하면 1달러의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100만보를 걸을 때마다 포인트를 제공하는 등 선진국에선 건강을 관리하게 하는 헬스케어 보험이 활성화돼 있다. 전 세계 헬스케어(건강관리) 산업이 ‘뛰고’ 있다. 보험연구원 자료를 보면 전 세계 헬스케어 시장은 매년 4.3%씩 불어나고 있다. 2020년에는 8조달러(9020조원)를 넘어설 전망이다.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도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41%의 높은 성장으로 531억달러(60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각국의 정책지원과 산업간 연계를 통해 헬스케어 사업영역이 확대되는 덕분이다. 헬스케어란 개인의 질병·상해·심신 상실에 대한 예방·진단·치료·재활 및 건강 유지·증진을 위한 제반 서비스를 말한다.

특히 최근에는 IT업체와의 협업이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한 정보수집과 클라우드를 통한 정보공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분석 등이 시장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는 얘기다. 가령 미국 1위 건강보험회사 유나이티드헬스가 애플의 건강데이터 공유 플랫폼 정보를 활용해 건강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2014년 미국 PWC 건강연구원(Health Research Institute)은 당뇨환자를 위한 모바일 건강관리서비스(mHealth솔루션)가 충분히 활성화하면 환자당 연간 최대 1만달러까지 절약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마츠요시 나츠노스케 JA공제총합연구소 연구원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사회보장 문제가 대두하고 있는 가운데 헬스케어 서비스는 화두”라고 분석했다.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성은 앞으로도 변함없을 것이란 뜻이다.



국내 헬스케어는 이제 ‘걸음마’ 수준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2014년 3조원에서 2020년 14조원으로, 연평균 12.5%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산업에서 10억원 상당의 상품·서비스를 만들 때 고용인력이 평균 8.8명이라면 헬스케어 산업은 16.9명 늘어난다는 분석 결과다.

하지만 수집된 건강 정보가 보험료 인하와 적극적인 건강 상담 등으로 연결하는 미국·일본과 비교하면 한국은 아직 초보 수준에 불과하다. 이해관계가 갈리는 의료계와 헬스케어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금융권 등 타 산업 간의 입장이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어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강보험 적용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뇨 관리 앱이나 인공지능 기반의 건강 진단 시스템에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으면 병원이 도입해 쓰기 어렵기 때문이다.

홍석철 서울대 교수는 “건강관리 부문의 효율성을 개선하면 인구 감소와 저성장으로 부담이 커지는 개인 의료, 국가 의료 재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