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최훈길 기자
2017.01.26 14:31:51
국표원 "2월 초 발화원인, 안전대책 발표"
''배터리 결함'' 문제, 안전기준 강화 예고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삼성전자(005930)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조사 중인 정부가 내달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배터리 안전기준을 강화하는 대책도 제시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소속기관인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26일 “조사 결과를 검토 중”이라며 “2월 초에는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표원은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 결과와 함께 재발방지 대책도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 해 국표원은 KTL(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 조사를 의뢰했다. 이어 민간자문단(제품사고조사협의회)과 함께 10여 차례 회의를 열고 조사 결과를 점검해왔다. 산업부는 이르면 설 전에 국표원이 조사 결과 등을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하지만 최근에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전안법)’ 논란이 불거지면서 2월로 발표 시기를 늦추기로 했다.
조사 결과는 삼성 측 발표와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앞서 지난 23일 삼성전자는 발화사고 원인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결론지었다. 삼성SDI의 경우 배터리 우측 코너 눌림 현상과 얇은 분리막이, 중국 ATL 배터리는 비정상적인 돌기와 절연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 조합이 결함으로 나타났다. 또 재발방지를 위해 배터리 안전성 검사와 다중 안전장치 도입 등으로 배터리 안전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미국의 안전당국인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도 이 같은 조사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엘리엇 케이 CPSC 위원장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삼성전자는 이번 이슈와 관련해 CPSC 전 직원보다 많은 엔지니어와 스태프들을 고용했다”며 “리콜된 갤럭시노트7 배터리의 근본적 발화 원인에 관한 삼성전자의 조사 결과 발표는 중요한 진전이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국표원은 안전기준을 강화하는 등 후속대책을 마련하는데 공을 쏟고 있다. 국표원 관계자는 후속대책과 관련해 “CPSC가 안전성 강화에 대해 언급한 점을 유심히 봤다”며 “스마트폰의 안전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신중하게 검토해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지난해 국감에서 “앞으로 철저하게 원인을 분석해 리콜제도 전반을 고치고 배터리 안전기준을 상향 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후 국표원은 민간 전문가들과 리콜(결함보상) 등 제품안전 제도를 전면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케이 위원장은 최근 성명에서 “업계도 이번 경험을 계기로 설계·제조 등의 단계에서 더 많은 안전장치를 마련해 소비자 안전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