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NASA 달 탐사 제안 'OK', 화성탐사는 'NO'..이유는?

by이승현 기자
2014.10.30 14:19:09

정부, 국제 화성유인탐사 프로젝트 미참여.."구체적 방침 없어"
"독자 기술력 없이 참여하면 돈만 낭비..달 탐사는 ''탐사선'' 기술력 갖춰"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정부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안을 수용해 달 탐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지만, 화성탐사 제안은 사실상 거부해 배경이 관심이다. 정부는 2030년 화성탐사 계획을 세웠지만 지금은 독자적 기술기반이 거의 없어 NASA 주도의 국제 프로젝트에 발을 들여봤자 얻을 게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30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에 따르면, 한국은 국제우주탐사협력그룹(ISECG)의 일원이지만 이 협의체가 추진하는 화성 유인탐사 프로젝트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다. ISECG에는 한국의 항우연과 NASA, 유럽우주국(ESA), 러시아·일본·일본·프랑스 등 총 12개의 국가별 우주기관이 소속돼 있다.

화성탐사 분야는 미국이 유일하게 착륙선까지 보내며 멀찌감치 앞서 있다. 최근 인도가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화성 궤도에 탐사선을 안착시켰고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공동으로 오는 2018년 탐사선을 보낼 계획이다.

이와 관련, 찰스 볼든 미 NASA 국장은 한국 정부에 화성 유인탐사 프로젝트 참여를 직접 2차례 이상 제안했지만 정부는 움직이지 않고 있다. 미래부 고위관계자는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 방침이 없다”고 말했다.

우주항공 분야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데 독자능력 없이 국제 프로젝트에 무작정 참여했다가 엄청난 돈만 낭비할 수 있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다국적 프로젝트에는 참여 국가들이 상당한 금액의 분담금을 내야 한다.

앞서 NASA는 국제우주정거장(ISS) 사업 때도 한국이 통신모듈 분야에서 협력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우리 정부는 1억달러 규모의 분담금에 비해 얻는 것이 적다고 보고 참여하지 않았다.

항우연 관계자는 “화성탐사는 항공우주 분야의 선행연구에 참여한다는 의미가 있다”면서도 “우리의 기술적 역량과 경제규모 등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반면 현재 진행 중인 ‘2020년 달 탐사 프로젝트’는 우리 정부가 NASA의 제안을 수용해 성사된 사례여서 대조를 이룬다.

NASA는 달 남극의 물(얼음과 수증기) 존재를 발견, 실제 탐사를 위해 6년 전쯤 한국 정부에 협력을 요청했다. 한국의 위성(달 궤도선)을 미국의 달 표면 탐사를 위한 통신용 기기로 사용하고 대신 한국의 달 탐사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기술적 지원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지난 1992년 ‘우리별 1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20번 정도 위성을 발사했기 때문에 위성과 유사한 달 궤도선 개발은 해볼 만하다고 판단했다.

항우연 관계자는 “당시에는 정부 차원의 달 탐사 계획이 없었는데 이 제안을 계기로 논의가 이뤄졌고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으로 나오면서 프로젝트가 확정됐다”고 말했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기본적으로 (독자적인) 행성탐사 실력이 없으면 (국제협력 프로젝트에서) 봉 노릇만 하게 된다”며 “한국도 화성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게 좋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당장 우리가 기술적으로 얻을 건 별로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부는 최근 달 탐사 프로젝트의 내년도 예산규모를 410억원으로 책정, 국회에 예산반영을 요청했다. 달 탐사 사업은 현재 2015년 미래부 예산안에서 빠져있기 때문에 국회가 별도로 반영해주지 않으면 사업추진 자체가 불가능하다. 미래부는 내년에 이어 2016년 921억원, 2017년 647억원 등 총 1978억원의 예산을 책정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