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식량난 북한, 의사도 배급 받기 어려운 수준”

by윤정훈 기자
2024.01.10 14:35:04

통일연구원 북한인권백서 2023 발간
대도시 권력층 위주로 식량 배급
의사, 선생님 등 직업군 배급 받기 어려워
부정부패 단속위해 ‘허풍방지법’ 제정...효과 미미

[이데일리 윤정훈 기자] “남편이 의사였는데 직장에서 쌀표를 주면 15일마다 한번씩 배급을 받았다. 대북제재가 시작되면서 배급이 되지 못한적도 많았다.”

식량난에 어려움을 겪는 북한주민(그래픽=이데일리)
통일연구원이 발간한 ‘북한인권백서 2023’에 나온 탈북민의 증언이다. 또 다른 탈북민도 남편이 의사였지만 배급이 안나와서 환자를 돌보고 점심을 다같이 먹거나 환자 집에서 준비한 것을 받는 정도만 있었다고 전했다.

북한은 식량 배급을 하는데 직업별로 차급 적용한다. 평양 등 대도시에 사는 사람과 특정사회 권력층의 배급은 잘되지만, 그외 직업군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우태 통일연구원 국제전략연구실 위원은 “북한의 최근 7년간 곡물 생산량은 평균 약 456만t 가량이며, 작년에는 482만t으로 추정한다”며 “이는 연각 곡물 수요량인 550만t 대비 70만t 부족한 상황으로 매년 부족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위원은 “식량 부족의 원인은 실패한 식량증산정책과 분배과정에서의 착복 및 유용으로 인해 나타난다”며 “북한이 정권수립부터 현재까지 공식적으로는 배급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배급제가 붕괴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부정부패가 심각하다고 했다.



이에 북한당국은 코로나19 이후 부족한 식량을 메꾸기 위해 허풍방지법을 제정하고 식량 생산량에 대한 ‘허위보고’를 단속하는 등 분배과정의 부조리를 차단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오래전부터 조직적으로 만연해있는 형태의 허위보고는 차단하기 힘든 실정이다.

식량은 당 간부와 지배인, 보안원, 보위원 등 사회권력층을 위주로 배급한다. 이들이 받는 배급량은 의사나 선생님이 받는 양의 3~5배 정도이며 부식의 경우에도 엘리트 집안에서 권력기관 종사자 중심으로 배급된다.

북한은 남한과 달리 교수, 의사, 판·검사 등 직업군은 중·서민층에서 선호하는 평범한 직업이다. 한국에서 의사 선호현상과 달리 북한은 무상치료제가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그저그런 직업으로 평가받는다.

이 위원은 “북한 주민은 부족한 식량을 보충하기 위해 장마당에서 장사를 하거나 개인적인 경제활동을 한다”며 “북한 주민의 식량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협력을 바탕으로 총체적이고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꼬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