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망 시범사업, 10개월은 걸려"..전문가들 우려

by김현아 기자
2015.07.27 17:16:23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1조1000억 원 규모의 국가재난안전통신망 본사업의 사전 테스트 베드 격인 시범사업이 발주됐다.

하지만 정부 계획대로 계약 체결이후 180일(6개월)만에 강릉, 평창, 정선 지역에 206개 기지국을 제대로 구축할 수 있을 지, 정보화전략계획(ISP)에 나온 대로 본사업 진행 시 전국 커버리지(면적기준)를 맞추려면 구축비용 1조1000억 원으로 가능할지는 여전히 논란이다.

2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민안전처의 재난망 시범사업 제안요청서(RFP)가 발주됐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무선망 설계(셀플래닝)와 관련된 걱정이 여전하다.

정부는 시범사업에서 평창에 68개, 강릉 82개, 정선 55개, 차량령 1개 등 206개의 기지국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나, 8월부터 내년 2월까지 진행될 공사 일정을 고려했을 때 혹한기의 어려움과 신규 기지국 건설 시 인허가 문제 등이 만만찮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겨울을 끼고 기지국 공사를 하려면 어려움이 많다”면서 “게다가 시범 사업 기지국 공사에서 30여개 사이트는 새롭게 허가 받아야 하고, 1사업자(평창과 운영센터, 337억9800만 원)와 2사업자(강릉·정선, 82억 1600만 원)간 연동 등을 고려하면 6개월의 기간은 너무 짧다. 10개월은 걸린다”고 말했다.



특히 재난망 시범사업이 원활히 되려면 통신사 기지국이 1600여개~1천800여개 정도 필요한 데, 206개 기지국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ISP에서 명확한 셀커버리지, 통화품질, 상용망 이용범위 등에 대해 검증했어야 함에도 철도나 해상과의 연동방안도 시범사업자에게 만들라고 하는 것은 ISP의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한편 국민안전처는 이번 시범 사업에서 △재난망의 37개 요구기능이 공공안전LTE(PS-LTE) 기술방식에서 구현되는 지 검증하고 △향후 확산 및 완료사업에 대비해 효과적인 재난망 구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재난망 구축사업에는 KT(030200), SK텔레콤, LG유플러스뿐 아니라 ISP를 담당한 LG CNS, SK C&C, 삼성전자, 노키아, 에릭슨 등도 관심을 두고 있다. 다만, 삼성전자는 특정 컨소시엄에 참여하지 않고 최종 선정된 사업자 모두에게 장비를 납품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