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뒷걸음 치는데.. '경북라인'은 2년째 달린다

by김동욱 기자
2013.11.13 16:59:50

대구-경산-구미지역 아파트값 상승세 뚜렷
물량 부족이 집값 상승 원동력
지상철 등 개발 호재도 한몫

▲반도건설이 지난 8일 문을 연 ‘대구테크노폴리스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아파트 모델하우스에 지난 주말 동안 2만여명의 방문객이 몰렸다. 이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찾은 주택 수요자들이 길게 줄을 서서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반도건설)
[이데일리 김동욱 기자] 지난 8일 대구 수목원 주변에서 문을 연 반도건설의 ‘대구 테크노폴리스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아파트 모델하우스. 주말 사흘 동안 이 일대는 모델하우스를 둘러보려는 인파가 몰려 극심한 혼잡이 빚어졌다. 주변 일대 교통이 마비될 정도였다. 모델하우스 밖으로는 300m가 넘는 긴 줄이 생기는 진풍경도 벌어졌다. 김정호 반도건설 홍보팀장은 “주말 사흘 동안 2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몰렸다”며 “이 지역 주택시장 열기가 뜨거워 분양 성공을 자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택시장 침체로 전국 곳곳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지만 이런 영향에서 빗겨난 곳이 있다. 바로 대구-구미-경산으로 이어지는 경북 라인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집값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주택 공급이 부족했던 게 집값 상승의 원동력이라는 게 현지 부동산 중개업계의 설명이다. 혁신도시와 대구 국가산업단지 조성 등 풍부한 개발 호재도 한몫했다. 기존 집값이 뛰면서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12일 국민은행 부동산 통계를 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5곳 모두 대구·경북지역이 싹쓸이했다. 구미시가 10.18% 올라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북 경산시(9.46%), 대구 북구(9.64%), 대구 달성군(9.46%), 대구 달서구(7.56%) 순으로 올랐다. 지난해에도 경산(11.7%)·구미(9.95%)·대구 달성군(9.8%)은 전국 집값 상승률 ‘톱5’ 안에 들며 집값이 강세를 보였던 곳이다. 반면 지난해 집값이 많이 올랐던 울산과 충남 아산은 올해 각각 0.27%와 2.76% 상승하는 데 그쳤다. 결국 올해 대구·경북 라인 주택시장만 호황을 누렸다는 얘기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대구 북구 한신1차 전용면적 95㎡형 시세는 2억원 선으로 올해 초보다 6000만원 이상 올랐다. 일년 새 집값이 45% 가까이 뛴 것이다. 달성군에 있는 세광무지개마을 아파트(전용 43㎡)는 연초보다 40% 급등한 775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대구 북구 관음동 국제수정중개업소 관계자는 “대구 북구지역은 최근 몇 년간 신규 아파트가 없었던 데다 지상철 3호선 개통 등 개발 호재가 맞물리면서 집값이 치솟았다”며 “중형 아파트는 매물이 없어 못 팔 지경”이라고 전했다.



분양시장도 후끈 달아올랐다. 대구에서 올해 분양된 아파트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7.65대 1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미분양 물량도 전국에서 가장 많이 줄었다. 2008년 2만가구가 넘었지만 지금은 1600여가구에 불과하다.

박합수 국민은행 부동산팀장은 “대구·경북지역은 단기간에 집값이 많이 올랐다”며 “내년 쯤에는 주택시장이 조정을 받아 하향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반면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은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집값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떨어진 5곳은 모두 서울·수도권 지역이었다. 경기도 파주시 아파트값은 올 들어 4.95% 내려 전국 최고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서울에서는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이 무산된 용산구가 3.39% 내려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인천 중구(-3.54%)와 고양시 일산동구(-3.25%) 등도 집값 하락세가 뚜렷했다. 서울·수도권 전체로는 평균 1.59% 빠졌다. 반면 지난해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내렸던 과천시는 올해 1.56% 올랐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 경기 전망 등도 불확실해 서울·수도권의 집값 반등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며 “하지만 정부의 시장 활성화 대책 효과로 중소형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살아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