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OECD 발병·사망 1위..韓 결핵 후진국 오명 언제 벗나

by함정선 기자
2018.08.01 12:00:00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정부의 결핵 발병 감소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에도 불구, 우리나라의 ‘결핵 후진국’ 오명은 좀처럼 벗지 못하고 있다.

2016년 기준 OECD 35개 국가 중 발병률과 사망률 모두 1위다.

지난 5년간 ‘제1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해 결핵 발병률(국내 집계 기준)을 2011년 10만명 당 78.9명에서 지난해 55명으로 줄였음에도 이같은 불명예는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OECD 기준으로 한국의 발병률은 10만명 당 77명으로 2위인 라트비아 37명 대비 2배가 많다.

최근 급속화되는 인구 노령화로 노인 결핵 발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 결핵환자도 증가추세이기 때문이다.

‘후진국 질환’으로 불리는 결핵이 한국에서 이처럼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한국전쟁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당시 결핵이 급속도로 전파하며 잠복결핵 환자가 전국으로 확산했고, 면역력이 약해지는 노년시기 결핵이 발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OECD 기준 결핵 발병률을 2022년 10만명 당 40명까지 줄이는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해 1일 발표했다. 2035년에는 결핵퇴치 수준인 10만명 당 10명 이하까지 결핵 발병률을 낮추는 것이 목표다.

우선 결핵 조기 발견에 집중한다.

노인 결핵 발생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노인 결핵검진을 실시하고, 외국인 밀집 거주 지역 대상으로 결핵 및 잠복결핵 감염 검진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또한 잠복결핵감염을 치료하는 의료기관을 확대하고, 결핵 감염에 취약한 영유아, 노인, 청소년 등과 접촉이 많은 직업군의 결핵검진도 강화할 계획이다.

결핵관리 인력도 늘린다.

권역별 민간·공공협의회에 환자사례 관리팀을 구성하고 결핵환자에 대한 개별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철저한 사례 상담과 지원 등으로 환자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

이와 함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결핵치료를 제공하는 ‘결핵안심벨트’ 참여기관을 지방의료원 등으로 확대한다.

결핵진단제와 백신 등에 대한 개발 지원도 강화한다.

양한 신약 후보군 개발로 결핵 치료제의 개발을 유도하고,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기초 연구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특히 결핵예방백신(BCG) 수급 불안정 해소 및 백신주권 확립을 위해 2020년 개발·허가를 목표로 추진 중인 피내용 BCG백신 국산화가 차질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결핵정책에 관한 협의·조정을 통한 실행력을 강화하고 결핵퇴치를 위한 정부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관련부처 협의체를 구성, 정기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