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대표 화가 한시각 '포대화상' 등 간송 유물 3점 보존처리

by김은비 기자
2021.05.17 15:01:54

서화·도자류 120점은 훼손 예방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문화재청은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소장한 비지정 문화재 총 3건 79점을 보존처리하고, 서화·도자류 120점에 대해서는 훼손 예방 작업을 최근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한시각 ‘포대화상’ 보존처리 전(왼쪽)과 후 모습(사진=문화재청)
간송미술문화재단은 문화재청과 전문가 자문을 거쳐 ‘한시각(1621~?) 필 포대화상’, ‘이인상(1710~1760) 필 ’원령희초첩’, ‘민영익(1860~1914) 필 운미난첩’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작년 한 해 동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하 지류·회화수리복원연구소가 보존처리를 담당했다.

‘포대화상’은 조선 중기의 화가 한시각(1621~?)이 남긴 포대도 중 현존하는 5건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이자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작품이다. 1655년 을미통신사 수행 당시, 일본 측 요청으로 ‘사행록’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다.

‘원령희초첩’은 시·서·화에 능해 ‘삼절’이라 불렸던 이인상의 뛰어난 글씨와 사의적인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운미난첩’은 근대 시기 한국화단에 큰 영향을 미친 민영익이 1895년 을미사변 이후 중국 상해에 망명한 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망명 당시 중국의 서화가들과 교유하며 묵란화를 자기만의 시선으로 해석한 이른바, ‘운미란’ 72점으로 구성돼 있다.

이인상 ‘원령희초첩’(사진=문화재청)
세 작품에 대한 보존처리는 인문학적 조사와 과학적 조사·분석결과 등을 종합해 수립된 보존처리계획에 따라 이뤄졌다.



3건 모두 제작 당시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추정돼 본래 장황을 재사용했다. 결손된 부분은 유물의 바탕재와 최대한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했다.

이번 보존처리로 유물의 오염도가 현저히 줄었다. 이외에 문화재 각각 상태와 크기를 고려해 고문헌, 족자를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만든 보호용 도구인 굵게말이축과 보관상자를 제작하여 보관상의 안정성도 높였다.

서화류는 건식처리와 응급처리를 주로 했고 도자류는 손상된 보관상자를 수리, 제작하고, 내부 충진재를 새로 제작한 솜포로 교체해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는 예방적 조치를 했다.

민영익 ‘운미난첩’(사진=문화채정)
한편 ‘비지정 문화재 보존처리 및 예방적 관리’사업은 간송미술문화재단과 같이 역사적·인문학적 가치가 높은 비지정 문화재를 다량으로 보유한 기관을 대상으로 보존처리 등에 필요한 예산을 연차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조선 후기 서화 수장가였던 김광국(1727~1797)의 ‘석농화원’ 중 일부로 알려진 ‘해동명화집’ 1건 60점과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권우(1363~1419)의 ‘매헌집’ 5책 1권에 대한 보존처리와 인문학적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