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값 또 올랐다…안산은 하락 전환

by강신우 기자
2020.08.20 14:00:00

한국감정원 8월3주차 아파트 매매동향
서울집값 0.02% 상승…지난주와 동일
경기권에선 안산시 -0.03%로 하락전환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8·4부동산대책과 7·10후속 입법절차가 마무리됐지만 서울아파트 매매가격이 또 올랐다. 다만 수도권에서는 안산이 유일하게 하락전환했다.

2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8월3주차(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상승폭이 같은 0.02% 올랐다.

자치구별로 강남4구는 7·10대책에 따른 보유세 부담 등으로 관망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강동구(0.01%)는 명일·천호동 9억원 내외 단지 위주로, 강남구(0.01%)는 GBC기대감 있는 청담동 위주로 상승했다. 서초(0.00%)·송파구(0.00%)는 단지별로 상승 및 하락 등 혼조세 보이며 보합했다.

비강남권은 관악구(0.04%)는 신림동 중저가와 봉천동 저평가 단지 위주로, 양천구(0.04%)는 재건축 진척 기대감 있는 목동 신시가지 위주로 올랐다.



강북권은 0.03% 상승했다. 동대문구(0.05%)는 답십리·이문·전농동 위주로, 중랑구(0.05%)는 교통 양호한 상봉·신내동 등 위주로, 강북(0.04%)·도봉(0.02%)·노원구(0.01%)는 중저가 위주로 올랐다.

경기권은 0.12% 올라 지난주(0.15%)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구리시(0.40%)는 태릉CC·갈매역세권 개발기대감 등으로, 용인 기흥(0.30%)·수지구(0.25%)는 전세매물 부족 영향 있는 가운데 역세권과 중저가 단지 위주로, 광명시(0.29%)는 광명뉴타운 및 철산동 재건축 기대감 등으로 상승했다.

안산시(-0.03%)는 교통호재 등으로 그동안 상승폭 높았던 중저가 단지에서 하락매물이 나오면서 하락 전환했다.

수도권 전세가격은 서울이 0.12%, 인천 0.05%, 경기 0.23% 올랐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서울의 전세가격은 전월세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및 재건축 거주요건 강화 등으로 전세매물 감소하며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지만 휴가나 방학 등 계절적 비수기 요인으로 상승폭은 축소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