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 단가 4년 내 28% 낮춘다

by김형욱 기자
2022.10.11 14:01:59

산업부, BIPV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발표
박일준 차관 "시장 선도 위한 지원 늘릴 것"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연구개발 지원 등을 통해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 단가를 2026년까지 28% 낮춘다는 계획을 세웠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은 이날 서울 에너지공사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설비(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실증단지를 찾아 BIPV 초기시장을 만들기 위한 ‘BIPV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색상을 추가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설비(BIPV) 설치 예. (사진=EKOS)
BIPV는 기존 건물 지붕·옥상에 태양광 패널을 다는 건물 부착형 태양광발전(BAPV)과 달리 건물 신축 단계에서 창호나 외벽, 지붕에 태양광발전 기능을 넣어 건물 미관과 융화하는 가운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와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식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미 지난해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27억달러(약 3조9000억원) 규모의 초기 시장이 형성됐고, 2026년까지는 3배 남짓 큰 76억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534건, 설비용량 31메가와트(㎿) 규모로 미미한 수준이다. 건물 태양광 규모는 7.0기가와트(GW)로 전체 태양광의 32% 규모이지만 절대 다수는 일체형이 아닌 패널 부착형이다. BIPV 국내 모듈 제조사나 전문 시공사 역시 10개 안팎에 불과하다.

산업부는 글로벌 BIPV 시장 성장에 맞춰 관련 산업의 초기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목표로 이번 방안을 발표했다. 일단 BIPV가 그 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반면 국내엔 구체적 기준이 없는 만큼 위치나 형태, 기능에 따른 세부 분류기준과 설치유형별 설계·시공·감리기준을 마련키로 했다. 또 한국 국가표준(KS) 인증을 의무화해 제품 품질의 안전·구조성능을 상향 평준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건물 태양광 보조금 지원사업을 BIPV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BIPV 초기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했다. 윤석열 정부의 긴축 재정 기조에 따라 예산을 대폭 늘릴 순 없지만, 주어진 예산을 기존 건물 부착형 태양광이 아닌 건물 일체형 태양광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현재 13.4% 수준인 BIPV 예산 비중을 30%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태양광 발전 사업자의 주 수입원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발급 기준도 용량 외에 유형, 위치까지 함께 고려하도록 바꿔 BIPV를 우대키로 했다. 별도 가중치 부여도 검토한다.

산업부는 또 관련 기술의 국산화, 고부가가치화를 목표로 2026년까지 관련 연구개발에 약 550억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모듈 단가를 현 1와트(W)당 1.8달러에서 1.3달러로 28% 더 낮추고, 수명은 현 25년에서 28년으로 3년 늘리기로 했다. 설비 이용률도 현 12%에서 14%로 2%포인트(p) 높일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고 내후성 투명백시트, 불소필름, 컬러필름용 유·무기 안료소재 등 핵심소재를 국산화하기로 했다. 이 같은 경제성 향상 목표 외에 안전성과 심미성, 유지·보수(O&M) 측면에서도 각각의 세부 개선목표를 세웠다.

산업부는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제로 에너지 건축물을 늘리고 더 나아가 도심 내 에너지 수요를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일준 차관은 “본격적인 시장 확대에 대비해 우리 기업이 미래 스마트 건물 태양광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미리 제도를 정비하고 산업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11일 관계자와 함께 서울 에너지공사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설비(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실증단지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산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