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유족대표 “특별법에 진상규명 빠져…답답한 상황”
by이재은 기자
2025.06.30 11:25:53
3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
“유가족이 원하는 1순위,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
“항철위 조사 내용 알림 등서 유가족은 배제돼”
“특별법 내 치유 휴직 대상도 확대될 필요 있어”
[이데일리 이재은 기자] ‘12·29 여객기 참사 피해 구제 및 지원에 따른 특별법’이 30일 시행되는 가운데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측이 “아예 진상규명이 빠져 있다”며 “(국토부 산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결과가 (나오기까지) 1년 반 정도 걸리는데 그때까지 정말 수동적으로 기다려라. 이렇게 하는 구조”라고 했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지난달 16일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및 사고정보 공개 등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김유진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대표는 3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왜 179명이 돌아오지 못했는지(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는 게) 유가족들은 1순위로 원하는 것인데 (특별법에) 진상규명이 빠져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유가족들의 참여나 조사 내용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것들이 있었는데 저희는 배제되고 있다”며 “더 답답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김 대표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에서 저희들에게 (브리핑)했던 게 4월 초가 마지막”이라며 “관제 내용, 그것도 텍스트 본으로 알려주셨는데 서약서를 쓰고 저희가 받았다. 언론에 노출하지 않는다고 (비밀)서약서까지 쓰고 텍스트 본을 그 자리에서만 보고 다 수거해 갔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공교롭게도 토요일에 그거를(텍스트 본을) 받았는데 월요일에 언론에서 더 디테일한 내용으로 나왔다. 그러면 서약서까지 작성하면서 서울에서 무안공항까지 오신 분들은 얼마나 허탈하겠는가”라고 했다.
김 대표는 “국토부 자문위원회에서 전문가들은 저희를 위해 설명하도록 돼 있다”면서도 본인의 의사를 개진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자문위원에 선정된 것이기에 의견 개진도 못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자문위원회 전문가들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저희한테 설명해주시는 것”이라며 “유가족들이 그랬다. 저희도 한글 안다고. 읽으면 알 수 있는 내용이고 그분들의 입장에서 이건 잘못됐고 이건 조금 더 조사를 요구해야 하고 이런 부분을 전문가들이 도움을 주셔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대표는 특별법에 담긴 치유 휴직 대상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참사 당일부터 한 3개월 정도는 너무 경황이 없어서 오히려 슬픈 것보다 현실로 받아들이지 않아서 오히려 당황스럽기만 한데 3개월 이후부터는 조금씩 현실로 다가온다. 그래서 슬픔과 분노와 여러 가지 복합적인 감정들이 너무 몰려와서 지금 6개월 되는 이 시점이 가장 힘들다는 생각이 든다”며 “특별법 치유 휴직에는 근로자로만 (대상이) 한정돼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근로자라는 건 고용보험을 가입하는 그 대상만 포함된다. 자영업이나 프리랜서, 심지어 공무원까지 근로자가 아니기 때문에 치유 휴직의 지원을 받을 수 없다”며 “자영업이나 프리랜서분들은 본인이 아니면 대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예 폐업하거나 너무 힘든데도 계속 (업을) 영위하는 것밖에는 선택지가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