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자유특구 대전 '바이오 메디컬'·경북 '배터리 리사이클링' 실증 착수
by박민 기자
2020.07.08 14:00:00
바이오 기업에 최초 검체 분양
배터리 리사이클링 안전성 검증
대구·제주·경남도 이달 실증 나서
[이데일리 박민 기자] 규제자유특구인 대전과 경북에서 각각 ‘인체 유래물 은행’과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 등의 신기술 실증에 나선다. 규제자유특구는 지역과 기업이 혁신기술 신사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핵심규제를 완화하는 제도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대전 바이오 메디컬 특구(대전테크노파크)와 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포항 블루밸리 산업단지)가 혁신기술을 테스트하기 위한 사전 준비를 마치고 본격적인 실증에 착수한다고 8일 밝혔다.
경북과 대전은 각각 지난해 7월(1차)과 11월 (2차)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곳이다. 경북은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폐배터리의 자원화를, 대전은 체외진단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 등 바이오 신산업 육성에 나선다.
| 대전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내 기업전용 인체유래물은행 공동운영 실증사업 체계도. |
|
먼저 대전(바이오 메디컬)에서는 충남대병원, 을지대병원, 건양대병원 3개 기관이 기업전용 인체 유래물 은행을 공동 운영한다. 제품 연구개발 과정에서 검체가 필요한 경우 체외진단기기 기업에 신속히 검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분양심의 결정 등의 검체 분양 실증이 이뤄진다.
그 동안 검체의 경우 병원 내 연구용이 대부분이어서 실제 기업의 연구개발에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거나 기업이 직접 적정 수의 검체를 수집하기가 어려웠다. 수도권이나 해외로부터 검체를 제공받아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전 특구에서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수준에 준하는 분양 위원회와 인체 유래물 은행 공동 운영 규정을 마련해 공동운영위원회를 개최했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검체 수요조사를 통해 지금까지 총 1만550개의 임상검체를 수집해 검체 분양을 준비했다.
이달 8일 유방암 조기진단키트를 개발하는 기업에 인체유래물 최초 분양을 시작으로 향후 특구사업자들의 제품개발 시기에 맞춰 수요 맞춤형 검체 분양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바이오 메디컬 신제품의 조속한 개발과 조기 시장진입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자유특구 내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실증사업 체계도. |
|
경북(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에서는 30㎾급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제품을 오는 9일 빌딩 무정전 전원장치(UPS), 태양광 ESS, 전기 오토바이, 전동휠체어 등에 장착해 안전성을 검증한다. 앞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잔존 용량, 파워, 셀 밸런싱(충전량을 균일하게 맞추는 작업) 상태에 따른 등급별 분류기준을 이미 마련했다.
다양한 산업군에 활용이 가능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는 ‘제2의 반도체’라 불릴 만큼 잔존가치가 높아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급부상하는 분위기다. 다만 그동안 배터리 진단, 성능평가, 재제조에 대한 안전기준 미비 등으로 민간의 투자와 초기시장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실증을 통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다양한 산업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초기단계에 있는 국내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활성화와 지역경제 육성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의 친환경차의 보급과 확산 정책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전기차 폐배터리의 안전한 사후관리 방안도 마련돼 환경문제 해소에도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중기부는 대전과 경북에 이어 대구·제주·경남 등에서도 이달 중 본격적인 실증에 나설 예정이다. 특구사업이 전반적으로 본 궤도에 오른 만큼 실증 과정에서의 안전성 담보와 실증기간 내 성과 창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사후관리에도 힘쓸 계획이다.
또 특구별로 실증기술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관계부처 등이 참여하는 ’안전관리위원회‘를 지자체 내에 구성·운영해 실증 전 과정의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분과위원장을 특구옴부즈만으로 임명하고 관계부처·전문가·지방중소벤처기업청·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으로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김희천 중기부 규제자유특구기획단장은 “코로나19 국면에 어려워진 지역경제에 대전과 경북 규제자유특구 실증을 통해 지역산업의 활성화와 그 파급효과가 배가 될 것”이라며 “규제자유특구를 글로벌 산업의 허브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