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상윤 기자
2016.05.24 15:58:17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에너지 공기업에 대한 수술이 초읽기에 들어섰다. 정부는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를 통합하거나 자원개발 기능을 민간에 이전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 방안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자원 개발을 둘러싼 업계종사자, 전문가, 연구자 간 판단은 엇갈린다.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민영화 및 통폐합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자원개발 역량이 부족한 한국적 상황에서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맞서며 에너지공기업의 미래를 둘러싼 이견이 존재한다.
에너지공기업 민영화를 뒷받침하는 기본 근거는 국영기업은 정치나 정부정책에 휘둘리다보니 민간기업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글로벌 석유기업들이 대부분 민영화됐고, 국영기업도 상당 부분 민간자본 참여를 끌어내거나 민간에 자산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상위 12개 자원 개발 기업 중 국영기업은 7개로, 이중 4개 기업도 민간자본 참여 및 자산 매각 추진 계획을 발표한 상황이다.
글로벌 추세를 따르자면 한국도 민영화를 해서 시장 논리에 따라 효율적으로 자원개발을 하는 것이 답이다.
하지만 현장 전문가 및 연구자들은 “자원개발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다”라고 반박한다. 이들은 중장기적으로 민영화가 필요할 수오 있지만 자원개발에 뛰어들어 본격적으로 자원을 채취하기 시작한 지 10년밖에 안 된 한국의 현실에서는 맞지 않다고 주장한다. 영국의 BP, 프랑스의 토탈 등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국영기업 형태로 자원개발을 시작해 수십년에 걸쳐 충분한 경쟁력을 갖춘 후 단계적으로 전환했고, 자연스럽게 시장 경쟁체제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신현돈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민간기업의 규모와 역량이 아직 너무 미약한 만큼 일정 기간까지는 공공이 이끌고 민간이 함께 협력하는 체제가 필요하다”면서 “추후 기업공개(IPO)를 하더라도 정부가 일정 지분을 갖고 컨트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민간에 자원개발 자산을 매각하더라도 부실이 드러난 상황에서는 헐값에 팔릴 가능성이 존재하고, 매각 여부도 불투명해 보이는 점도 부담 요인이다. 신지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공기업 재무구조 개선이라는 목적에 치우쳐 민간 매각을 진행하다 자칫 팔지 않아도 될 우량자산을 낮은 가격에 매각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