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기 대비 물 부족 우려 저수지 51곳 912만㎥ 용수 공급

by이연호 기자
2024.03.21 15:21:34

관계 부처 합동, ''2024년 가뭄 종합 대책'' 수립
용수 공급 원활화 위한 인프라 구축도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정부가 올해 영농기에 대비해 모내기 물 부족이 우려되는 저수지 51개소에 912만㎥의 용수를 공급한다. 농촌용수 개발 사업 85개 지구를 오는 2027년까지 마무리하는 등 용수 공급 원활화를 위한 인프라도 구축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 20일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정수장에서 강릉시 가뭄 및 용수 공급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행정안전부는 선제적으로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농촌진흥청, 기상청과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4년 가뭄 종합 대책’을 수립했다고 21일 밝혔다.

정부는 매년 가뭄 대비 종합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이번 대책은 올해 추진해야 할 단기 과제 및 향후 추진할 중장기 과제를 담고 있다.

먼저 정부는 올해 영농기에 대비해 모내기 물 부족이 우려되는 저수지 51개소에 912만㎥의 용수를 공급한다. 논 물마름, 밭작물 시듦과 같은 가뭄 우려 징후가 나타날 경우 관정, 간이양수장, 둠벙 등 수원 확보, 양수기 구입 및 운영비 지원 등 긴급 지원 대책을 시행한다.

지자체는 가뭄에 대비해 자재와 물자를 비축한다. 가뭄 발생 시의 유관 기관 협조 체계를 사전에 구축한다. 정부는 현장 컨설팅을 통해 지역 실정에 맞는 대비 대책 수립을 지원한다.

가뭄 대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도 새롭게 추진한다. 기존 기상 가뭄 1·3개월 전망 서비스에 더해 기상 가뭄 6개월 계절 전망 정보도 연 4회 제공한다. 기존 전국 단위 가뭄 분포도를 개선해 전국 10개 권역별 기상 가뭄 분포도를 생산하고, 읍면동 단위 농업 가뭄 취약성 평가 및 취약 지도를 제작한다.

중장기적 가뭄 대비 대책도 시행한다. 우선 용수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물 부족 지역 85개 지구에 저수지, 양수장, 용·배수로 등을 만드는 농촌용수 개발 사업을 오는 2027년까지 마무리한다. 노후 상수관, 정수장 개량 등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도 올해 123개소에서 추진한다.



기존 수자원의 연계성은 강화한다. 농촌용수 이용 체계 재편 사업을 통해 송수관로 등 수계를 연결하고 소규모 양수장을 통폐합한다. 광역상수도 급수 체계 조정 사업을 통해 신규 수원 개발 전 기존 시설의 여유량을 물 부족 지역에 우선 공급한다.

‘자연재해대책법’ 개정을 통해 지자체 가뭄 대비 대책 수립을 의무화한다. 그동안은 행정 지침으로 수립을 요청하던 가뭄 대비 대책을 법적으로 의무화함으로써 현장의 준비를 보다 강화하자는 취지다.

현장의 가뭄 관측 기술도 강화한다. 노후화로 개선이 필요한 저수지에 다목적 계측 시설을 설치한다. 무인드론, 무인수심 측량기 등의 첨단 장비를 활용해 지자체 관리 저수지의 측량, 저수량 분석, 준설량 산정 등을 지원한다. 빅데이터·인공지능(AI)를 활용한 가뭄 예측 기술을 고도화한다. 실측에 기반한 통합 가뭄지수, 초단기 가뭄지수를 개발한다. 하나의 지도에 가뭄 상황을 표출하는 통합 가뭄 예·경보 맵(OneMap)을 작성한다.

이 밖에 가뭄 대응 재배 기술을 개발하고, 가뭄 피해 진단과 물 통합 제어 기술도 발전시킨다. 농장 단위의 맞춤형 기상 재해 조기 경보 서비스 지역을 내년까지 155개소로 확대하고 정확도 역시 개선한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최근 기후 변화로 강수량의 지역적 편차가 커져 국지적인 가뭄 발생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사전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는 지속적으로 가뭄 상황을 관리하고, 가뭄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선제적으로 대응해 국민이 안전하고 불편함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