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수소차 30만대"…보급 목표 현실화로 내실 다진다

by김형욱 기자
2023.12.18 16:31:43

제6차 수소경제위위원회 개최
수소차 보급 확대방안 등 발표
4년전 과도한 목표 현실화하고,
청정수소 생산해 내실 다지기로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국내 수소차 보급 대수를 2030년까지 30만대로 지금보다 약 9배 늘린다는 목표 아래 각종 보급지원 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또 청정수소 인증제를 도입하고 관련·연구개발을 가속해 수소 생산 과정의 탈(脫)탄소화에도 속도를 낸다.

정부가 4년 전인 2019년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비교해 목표치는 상당폭 낮아졌다. 그러나 당시 세운 공격적 목표는 이미 경로를 이탈한 만큼 현실적인 새 목표 아래 우리나라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정부는 1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위원장) 주재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4개 안건을 발표했다. 정부는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방안’을 통해 지난달 말 기준 3만4000대에 이르는 국내 수소차 보급 대수를 9배 많은 30만대까지 늘리기로 했다. 현재 수소차 보급 대수는 연 1만대 남짓인데 이를 남은 7년간 연평균 3만8000대까지 늘리겠다는 것이다.

수소차 보급 확대를 통해 온실가스(이하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복안이다. 우리 정부는 탄소중립 달성이란 전 세계적 목표에 맞춰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40%(2018년 대비) 줄이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수소차는 차량 내 연료전지로 주입한 수소 연료로 전기를 만들어 달리는 친환경차다. 아직 기존 내연기관차 대비 가격 경쟁력이 약하지만, 현대차(005380)·기아(000270)가 이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지난 2019년 수립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비교해 수치상 목표는 후퇴했다. 정부는 2018년 당시 2000대였던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2040년까지 620만대(내수 290만대)까지 늘리기로 했다. 2030년 기준 생산목표도 180만대(내수 85만대)였다.

다만, 이번에 발표한 계획은 4년 전의 과도한 목표를 현실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수립한 목표대로면 지난해까지의 누적 생산 대수가 8만1000대(내수 6만7000대)여야 했으나 정부 차원의 여러 지원에도 실제 보급 대수는 3만4000대로 당시 목표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더욱이 앞선 4년간 전기차가 급부상하며 전 세계적으로 수소차의 입지가 작아진 상황이다.



정부는 주행거리의 한계로 전기차가 대체하기 어려운 버스·트럭 등 상업용 차(상용차)를 중심으로 재정·금융 지원으로 보급 확대를 꾀한다. 2030년까지 3만대의 수소 상용차를 보급한다. 수소차의 내구성을 두 배 높이고, 연료전지를 두 배 경량화한다는 목표로 관련 연구·개발도 함께 추진한다.

수소 충전 편의를 위해 수소충전소 보급 목표는 4년 전과 같은 660기(11월 말 기준 274기)를 유지했다. 수소 공급 다변화 등 대책도 함께 추진한다. 지난달 말 수소 생산기업 1곳의 설비 수리 지연 여파가 수소 충전 대란으로 이어지며 수소차 생태계 전체에 악영향을 끼친 바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8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 서울에서 열린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수소 생산 과정의 탈(脫)탄소화도 본격 추진한다. 수소차는 운행 과정에선 탄소를 배출하지 않지만, 주된 수소 상업생산은 천연가스에서 추출하는 탄소 배출 방식이다. 정부는 이에 내년부터 청정수소 인증제를 시범 운영하는 방식으로 생산 과정의 탈탄소화를 유도한다. 정부는 수소 1㎏ 생산 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4㎏ 이하인 경우를 청정수소로 인정해주기로 했다.

정부의 궁극적인 목표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나 원자력발전 전력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만드는 수전해 기술 상용화다. 정부는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만들어 2030년까지 메가와트(㎿)급 수전해 수소 생산을 위한 주요 기술을 독자 개발키로 했다. 현재 수전해 수소 생산은 킬로와트(㎾)급 소규모 실증까지 성공했으나 상용화 이전 단계다.

수소 관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맞춤형 육성 전략도 함께 추진한다. 이날 행사에선 LG화학과 SK E&S, 효성중공업, 블룸에너지, SK에코플랜트 등 수소 수요 대기업이 주요 소부장 기업과 3건의 기술개발 및 공급망 구축 협력 협약을 맺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버스·트럭 등 수소 상용차 보급을 통해 수소 활용을 촉진하고 액화충전소 등 관련 인프라를 제때 확충해 충전 불편을 없도록 하겠다”며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청정수소 국내 생산 확대를 위한 지원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