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전기차 시장도 성장세 꺾여...플러그인하이브리는 인기”

by박민 기자
2024.07.22 15:36:48

KAMA, 미국 전기동력차 판매동향 보고서
한국계 브랜드 전기동력차 전년比 60%
美대선·미중갈등에 불확실성 증가 우려
“가격경쟁력 갖춘 새 공급망 구축해야”

[이데일리 박민 기자] 올해 상반기 미국 자동차 시장의 순수 전기차(BEV) 판매량이 전년보다 6%대 증가에 그치며 성장세가 크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같은 기간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판매량은 전년보다 35% 넘게 증가하며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조지아주에 건립중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 전경. (사진=조지아 주지사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배포한 ‘2024년 상반기 미국 전기동력차(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수소전기차) 판매동향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시장 내 전기동력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한 70만8509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 판매 증가율(54.8%)과 비교하면 성장세가 눈에 띄게 꺽였다. 또한 내연기관을 포함한 전체 승용차에서 차지하는 판매 비중은 9.1%에 그쳤다.

전기동력차 중 유형별 판매량은 순수전기차(BEV)가 전년 대비 0.2% 감소한 53만6382대를 기록함, 전체 승용차 판매 비중의 6.9%를 차지했다. 반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는 17만1805대 판매로 전년 대비 35.7%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수소전기차(FCEV)는 전년 대비 82.4% 감소한 322대 판매를 기록했다.

상반기 미국에서 팔린 전기동력차의 제작사 국적별 비중은 미국계가 66.2%(46만 9279대)로 가장 높았다. 이어 유럽계 13.2%(9만3291대), 일본계 10.4%(7만3411대), 한국계 10.2%(7만2528대) 등으로 나타났다.

2024년 상반기 미국 브랜드별, 유형별 전기동력차 판매 현황.(자료=KAMA)
미국계는 포드, 제너럴모터스(GM) 등 업체의 선전에도 테슬라의 판매 감소로 전년 대비 0.5%p 증가에 그쳤다. 이에 따른 판매 비중은 66.2%로 지난해 상반기(70.1%)보다 3.9%p 감소했다.

유럽계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인센티브 요건 강화로 순수전기차(BEV) 수혜 모델이 축소돼 상반기 전체 판매량이 14.9% 감소했고, 판매비중도 전년(13.2%)보다 3.3%p 하락했다.

일본계는 신모델 투입 확대와 공급망 정상화로 생산이 증가하며 순수전기차(BEV) 101.7%,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83.6% 등 판매량이 증가하며 전체 전기동력차 판매가 84.1% 늘었다. 판매 비중도 지난해 대비 4.4%p가 상승한 10.4%를 기록했다.

한국계는 순수 전기차(BEV) 판매량은 전년보다 60% 이상 증가했으나,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출하 감소로 전체 전기동력차 판매량은 46.4% 증가했다. 판매 비중은 지난해 7.4%에서 2.8p증가한 10.2%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BEV는 테슬라 모델Y로 전체 BEV의 35.5%를 차지했다. 2위는 유지한 테슬라 모델3는 1년 전 판매량의 절반 수준에 그치며 판매 비중도 지난해 상반기 19.7%에서 올해 상반기 10.5%로 줄었다.

현대차 아이오닉5(4위), 기아 EV6(10위) , 기아 EV9(11위), 기아 니로(14위), 현대차 아이오닉6(18위)에 오르며 5개 모델이 상위 2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KAMA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와 미국 대선 불확실성 등 여파로 전동화 추진 계획을 늦추거나 축소하는 기업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지난해 10월 혼다와의 전기차 합작 개발 계획을 철회했고, 같은 해 12월 전기 픽업 생산 시기를 1년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포드는 전기차 관련 투자 연기 및 생산 축소 계획을 발표했고, 하이브리드차를 과도기적 기술로 취급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테슬라는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을 2천만대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삭제했으며, 메르세데스-벤츠도 2030년까지 100% 전기차 전환하겠다는 기존 목표를 수정해 그 이후에도 내연기관차 모델을 판매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반면 토요타는 순수전기차(BEV) 투자 뿐 아니라 하이브리드차(HEV) 및 가솔린 차량에 대한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또한 미국 조지아주에 짓는 전기차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하이브리드차(HEV)를 함께 생산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KAMA 관계자는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전기동력차 관련 정책 불확실성과 시장 변동성도 확대될 것으로 보이다”며 “특히 중국산 전기차 관련 소재 및 부품의 관세인상으로 인해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생산원가 부담도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독자적인 환경규제와 내연기관 퇴출을 선언하는 주정부가 확대됨에 따라 제작사의 전기동력차 전환은 불가피할 것”이라면서 “다가오는 포스트 캐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등 투자 인센티브 제도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