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시군 교육발전특구 지정' 전남도, 이주배경 통합 지원 주력

by장영락 기자
2024.02.29 14:51:31

[이데일리 장영락 기자] 교육부가 ‘교육발전특구’ 첫 시범지역에 전남 7개 시·군을 선정했다. 전남도는 세부과제로 이주배경 학생 비율이 높은 지역 특성을 감안해 이주배경자 맞춤형 통합 지원에 주력할 예정이다.

시범지역 발표하는 이주호 교육부장관. 뉴시스
교육부와 지방시대위원회는 28일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역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신청 단위 40개 중 31개를 지정하고, 나머지 9개는 예비지정했다.

이 가운데 전남 7개 시군이 시범지역으로 선정됐다. 전남에서는 나주와 목포, 무안, 신안, 영암, 강진 등 6개 시·군이 선도지역으로 선정됐고, 광양은 매년 연차평가를 통해 성과관리와 지원을 받게 되는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산업체 등이 협력해 지역 교육 혁신과 지역 인재 양성, 정주 여건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정책이다.



전남도는 지난해 12월 교육부가 공모계획을 발표한 뒤 자치행정국장을 단장으로 전담반(TF)을 설치하고 관계 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전남형 교육발전모델’ 발굴 준비에 나섰다.

도와 도교육청은 시범운영 기간에 시·군별로 30억~100억 원의 특별교부금과 맞춤형 규제 특례를 우선 적용받으며 아이 키우기 좋은 전남, 지역특화 인재 육성 등 4대 목표, 21개 세부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이주 배경자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 특성을 감안해 이주배경자 맞춤형 통합 지원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귀화자와 이민자 2세, 외국인 등으로 구성되는 이주배경 인구는 전남에만 5만1131명으로 전남 전체 인구 대비 2.8%다. 이주배경 학생은 1만347명이나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