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 등 에너지 신산업 수출 7년 내 두배 늘린다

by김형욱 기자
2023.07.27 14:58:01

산업부, 에너지 신산업 수출동력화 전략 발표
원전·해상풍력·HVDC 등 21개 품목 선정하고,
2030년까지 100조원 이상 민·관 금융투자 지원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나 원자력 전력설비 같은 에너지 신산업 수출액을 2030년까지 현 286억달러(약 37조원) 규모에서 두 배 늘린다는 목표로 관련 지원 정책을 펼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7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0차 산업전략 원탁회의에서 에너지 신산업 수출동력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2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창양 장관은 이날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10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에너지 신산업 수출동력화 전략을 발표했다.

전 세계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무탄소 에너지와 에너지 효율, 전력계통 등 신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1799조원이던 각국 투자규모는 2030년 5914조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번 에너지 신산업 수출동력화 전략은 우리도 이 같은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우리 에너지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정책적으로 지원해 새 수출 동력으로 삼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이다. 약 2만5000개 한국 에너지 기업은 연매출 285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한국전력공사(한전)를 비롯한 공기업 주도의 시장인 영향으로 해외 진출보다는 내수 관리에 치우쳐 있다.

산업부는 기술 경쟁력이 높은 21개 수출 유망품목을 정하고 이에 대한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정책 지원을 집중키로 했다. △원전 설비 △리튬이온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LiB-ESS) △해상풍력 하부구조물(고정·부유식) △고전압 직류송전(HVDC) 케이블 △히트펌프 △수소터빈 복합발전 △소형 모듈원자로(SMR) 등이다.



21개 에너지 신산업 수출 유망품목 현황 및 선정 과정 개요.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정부는 또 유망 수출 상대국과의 공적개발원조(ODA) 등을 통한 에너지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 기반을 확대키로 했다. 연내 4500억원 규모 정책펀드를 조성하고 채권 발행이나 대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민간 금융 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에너지 신산업과 해외진출 투자에 100조원 이상의 민·관 금융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에너지 신산업 수출규모를 2030년까지 2배, 2035년엔 3배로 늘려 나간다는 목표다. 또 이 과정에서 21개 유망품목 중 10개 이상 품목의 국제 경쟁력을 ‘톱3’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부는 이날 회의에 앞서 에너지 신산업 민·관 얼라이언스를 발족했다. 산업부와 두산에너빌리티와 LS전선, HD현대일렉트릭 등 민간기업, 공기업 한전, 정책금융기관인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수출입은행, 수출진흥기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21개 기관·단체가 모여 에너지 신산업 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을 위해 협업한다.

이창양 장관은 “에너지 신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투자가 가속하는 잠재력 큰 시장”이라며 “우리 에너지 산업이 내수 중심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새로운 수출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