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0% “최순실·사드배치, 한류 악영향 미칠 것”

by김미경 기자
2016.12.15 12:41:23

15일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여론조사 발표
악영향, 최순실게이트(79%)가 사드배치(70%) 앞질러
한류 정책방향 “적극 추진하되 투명성 보장”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국민 상당수는 ‘최순실 게이트’와 ‘사드배치’ 등 국내외 정치사회적 이슈로 인해 한류정책과 문화산업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한류 위기론’이 팽배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이 최근 실시한 ‘2016 한류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사드배치’ 보다 오히려 ‘최순실 게이트’(79%)가 한류와 관련해 더 큰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봤다. 중국 정부의 금한령(禁韓令·한국 연예인 출연 금지와 기업 활동 제한)을 초래한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우려는 70%에 달했다.

앞으로의 한류 정책 방향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8%는 ‘한류산업 진흥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을 적극 추진하되 투명성이 보장돼야 한다’고 답했다. 한류 정책 변화 방식으로는 다수가 ‘문화교류 및 사회공헌 활동 지원’(32%)과 ‘인력 양성 및 창작 인프라 지원’(22%)을 들었다.

한류 발전에 기여한 주체로는 다수가 언론미디어(34%)와 기업(25%)을 꼽았으며 정부(7%)라는 응답은 소수에 그쳤다. 분야별로 보면 대중음악에서는 SM엔터테인먼트(38%), YG엔터테인먼트(16.5%), JYP엔터테인먼트(15.9%)를 주요 기여자로 꼽았다.



또 영화·방송 기여자로는 다수가 CJ E&M(40.9%)을 선택했다. 그 다음으로 SBS(9%), KBS(7%), MBC(6%) 순 이었다. 김종학 프로덕션(3%), 롯데엔터테인먼트(3%) 등은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미미한 것으로 봤다.

한류로 우리나라가 받는 수혜로는 다수가 ‘한국(상품)의 인지·호감도 제고’(52%)를 들었다. 한류로 인해 수혜를 입은 산업분야별로는 음악(50%), 화장품 및 패션(35%), 방송(34%), 관광(30%), 영화(17%) 순으로 나타났다.

김덕중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사무국장은 “최근 국내외 부정적 이슈로 한류 산업이 적잖은 위기 상황을 맞았다”며 “하지만 상당수 국민은 오히려 더욱 적극적이고 투명한 한류진흥정책의 추진을 지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난 20여년 간 대한민국의 한류는 각종 위기론을 극복하면서 오히려 확장성을 보였다”면서 “지금의 실추된 한류 이미지도 민관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노력으로 조만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