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습경보에 무방비 울릉군 주민들…유사시 대피소는?

by김경은 기자
2022.11.03 15:13:34

울릉군 공무원만 대피…주민들 대부분 거주지 머물어
민방위 대피소 위치는?…스마트폰 앱 ‘안전디딤돌’에서 검색
재난 인지 정보 발송도 공습경보 25분 뒤에나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한 뒤 경북 울릉 전역에 공습경보가 발령되자 군청 공무원들이 황급히 대피소로 대피하고 있다. 사진=연합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지난 2일 북한이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경북 울릉군 전역에 공습경보가 발령됐지만, 실제 주민들은 무방비 상태에 놓이며 유사상황 발생시 실제 국민들이 처할 상황을 여실히 보여줬다.

울릉군 전역에 공습경보 사이렌이 울린 시각은 오전 8시55분쯤이었지만, 재난위기 정보는 25분 후에서야 주민들에게 발송됐다. 주민들은 한동안 사이렌이 울린 원인도 제대로 알지 못했으며, 재난 위기 정보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발송되면서 중장년 주민들 대부분은 대피명령을 받지 못했다. 대부분의 울릉군 주민들은 공습경보 발령소식을 지인들의 문자나 뉴스를 통해 접해야했다.

지자체인 울릉군청조차 발령 원인에 대한 파악이 늦었다. 울릉군은 오전 9시1시쯤 행안부의 연락을 받아 상황을 인지했고, 공습경보 발령 10분 이후인 9시 5분경 내부 통신 망을 통해 전 직원 지하 대피 명령이 발송됐다. 이에 따라 공무원들은 지하 대피실로 이동했다. 공무원들이 주민들보다 15분 가량 먼저 대피하면서 유사상황시 무방비한 대처 상황을 여실히 드러냈다.

실제 주민들은 사이렌이 울렸을 때 민방위 훈련 정도로만 생각하고 우왕좌왕했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인한 공습경보 사실을 파악한 이후에도 민방위 대피시설이 어디 있는지도 몰라 거주지에 머물렀다.



행안부의 비상시 국민행동 요령에 따르면 비상 상황 발생시 스마트폰 앱인 ‘안전디딤돌’을 통해 안전한 대피소를 찾아보거나, 지하철역, 지하주차장, 큰 건물의 지하실 등으로 이동하라고 되어있다. 다만 화학무기 공격시에는 높은 곳이 더 안전하다.

대규모 지하시설이 부족한 울릉군의 민방위 대피시설 주민 수용률은 35%에 불과하고, 울릉군은 지하시설도 많지 않다. 울릉도의 민방위 주민대피 시설은 군청과 보건의료원 등 모두 8곳, 31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울릉군 주민 9000명 대피 시설로는 역부족이다.

울릉군은 “일부 공무원들은 대피했으나, 많은 직원들이 곳곳을 다니며 대피를 안내했다”며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