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춥다, 계속 춥다” 삼한사온은 사라졌나요[궁즉답]
by김경은 기자
2022.12.26 16:34:43
40년 겨울 기온 분석…2014년 이후 삼한사온 사라져
겨울철 기상, 북극진동 영향 커진 탓?
연일 강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하 10도 안팎의 날씨가 며칠째 계속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이런 추위는 이례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 겨울 날씨의 특징이 ‘삼한사온’이라고 3일간 추위 후 4일간 (그나마) 따뜻해진다고 했는데 그 말이 무색한 것 같습니다. 최근 날씨 동향을 보면 그런 삼한사온의 기후 특성이 사라진 건가요?
|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바람이 불면서 체감온도가 기온보다 5도가량 낮은 것으로 예보된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역 일대에서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
|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우리나라의 겨울철 기후는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 고기압과 상대적으로 따뜻한 북태평양 지역의 알류산 저기압의 서고동저 기압배치로 춥고 온난한 날씨가 반복되는 ‘삼한사온’으로 대표되어 왔습니다. 동장군이 기승을 부릴때마다 언제쯤 추위가 풀릴까하는 주기성 기온 분석을 둘러싼 관심도 커집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2010년대 이후로 삼한사온의 특성이 거의 사라진 것으로 평가됩니다. 유독 한파가 매서운 올 겨울 역시 추위가 몰려왔다 풀렸다를 반복하는 삼한사온 현상과는 거리가 멉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의 특성은 앞으로 어떻게 바뀌는 걸까요.
국립기상과학원과 한양대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지난 40년(1979~2018) 겨울철 기온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겨울 기온의 변동성은 7~8일 주기에서 가장 우세했습니다. 즉 사흘은 추웠다 나흘간은 온화해지는 전통적 삼한사온의 패턴이 거의 들어맞은 겁니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2014년 이후로는 7일 근처의 주기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연구팀은 “전형적인 겨울철 삼한사온의 뚜렷한 주기가 사라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갈수록 10일 이상의 장주기가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합니다.
이를 기후변화의 결과로 보는 시각에서는 ‘북극 진동’과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과의 상관성이 높아진 것을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다른 연구팀은 1986년 이전보다 그 이후에 북극진동과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과의 상관성이 크게 증가한 반면, 시베리아 고기압과 알류산 저기압의 변동성은 상관성이 크게 감소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보통의 강추위로는 말로 다 표현이 안되는 극단적인 한파와 삼한사온의 실종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북극진동이라는 단어를 최근 자주 접해보셨을 겁니다. 이 때 동시에 많이 등장하는 단어가 지구온난화입니다.
‘북극 진동(Arctic Oscillation)’은 북극의 찬 공기가 진자처럼 아래위로 움직이기를 반복한다는 데서 진동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북극이 차가워질수록 북극의 찬 공기를 가두는 제트 기류가 강력해지는데, 지구온난화로 북극 공기가 조금씩 따뜻해지면 온도 차이가 작아져서 이를 가두는 제트기류가 헐거워지면서 북극 찬 공기가 곧바로 저위도로 내려오며 한파를 유발하는 것입니다. 한파의 배경을 설명하는데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력이 약해진 이유입니다.
올 겨울 역시 지난달 하순부터 북극을 둘러싸고 도는 소용돌이가 약한 ‘음의 북극진동’ 상태가 이어지면서 저위도로 내려온 북극의 찬 공기가 한파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베링해와 우랄산맥에 발달한 블로킹으로 저기압성 순환이 만들어지면서 찬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우리나라에 주기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입니다.
다만 해당 연구팀은 “최근 삼한사온의 실종 등 이상의 사실들이 최근의 기후체계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것인지는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 이데일리 궁즉답에서는 독자 여러분들이 알고 싶어하는 모든 이슈에 기자들이 직접 답을 드립니다. 채택되신 분들에게는 모바일 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 이메일 : jebo@edaily.co.kr
- 카카오톡 : @씀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