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캡슐 재활용해 '반찬통' 소재로 쓴다

by강민구 기자
2022.10.26 13:40:26

지질자원연, 캡슐 커피 재활용 성공
유해물질 없어..기업에 기술이전해 상용화 도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커피캡슐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업에 이전해 상용화에 도전하고 있다.

전호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전호석 자원활용연구본부 박사 연구팀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최근 급격히 늘고 있는 생활 폐기물인 ‘폐 커피 캡슐’ 재활용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은 매년 약 2억 7200만 톤이 생산되지만, 이중 9%만이 재활용된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을 기업에 이전해 버려지는 커피캡슐을 재생플라스틱으로 다시 쓸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97.3%)과 알루미늄(2.7%)으로 구성된 폐 커피 캡슐을 파쇄하고 세척해 커피 찌꺼기를 없앴다. 다시 10밀리미터의 크기로 다시 으깬뒤 코로나방전형정전선별을 통해 전도성 산물인 알루미늄과 비전도성 플라스틱을 분류해 95.4%의 알루미늄을 없애고, 98.3%의 플라스틱을 회수했다.



이번에 쓴 코로나방전형정전선별 기술은 입자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는 정전선별법 중 하나이다. 전극에 공급되는 음극의 직류 고전압, 이온 충격, 입자들의 전하 소멸 비율 차이, 거울상 힘을 이용해 골라내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회수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를 작은 조각(펠릿)으로 만들어 물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유해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 생활용품 등에 쓰는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유사한 성질을 보여 재생프로필렌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다.

앞으로 대부분이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성된 커피 캡슐의 알루미늄을 없애 재생 플라스틱을 다양한 제품에 쓸 수 있다.

전호석 박사는 “생활에서 많이 쓰는 반찬통 등 다양한 용기로 쓰는 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기업에 이전했다”며 “캡슐 커피의 재활용으로 쓰레기는 줄이고 환경오염도 예방하는 친환경 자원 재활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폐커피 캡슐 결과물.(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