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상 겨우 10%, 상급종합병원 병상 활용해야"

by장영락 기자
2020.12.15 12:07:34

우석견 인의협 대표 "대구서도 대형병원 병상 제공후 시스템 안정화, 정부 빨리 나서야"

[이데일리 장영락 기자]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대학병원 등 민간병원에서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우석균 공동대표는 15일 오전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14일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병상확보를 위한 컨테이너 임시병상 설치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코로나 유행 이후 공공의료 공급 부족을 지적하며 사전준비 필요성을 지적해왔던 우 대표는 이날도 공공병상 부족 문제를 먼저 거론했다. 우 대표는 “우리나라는 일단 공공병상이 전체적으로 부족하다. OECD 평균이 73%인데 우리나라는 병상 기준으로 10%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우 대표는 “(코로나를) 공공의료에 주로 의존을 했었는데 거기다가 특히 지방의료원 즉, 35개밖에 안 되는 지방의료원에 주로 의존을 해서 그 병상은 1만1000개 정도밖에 안 된다”며 3차 대유행으로 현실화된 병상 부족이 공공병상 부족 문제와 직결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 대표는 “90% 민간병상을 활용해야 하고 그거를 병상 동원 체계를 짰어야 한다”며 “정부가 짜지 않은 것은 명백한 실수로 보인다”고도 지적했다.

우 대표는 “지금 국립대학병원, 사립대학병원 우리나라 제일 큰 병원들이 42개 정도 되는데 대략 4만개 정도의 병상이 있다”며 “그 중에서 10%만 동원을 해도 4000개, 5000개 정도는 나온다”고 설명했다. 민간병원 병상 여력을 활용하면 병상 부족은 문제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우 대표는 “우리나라 병상이 전체적으로 치료 병상만 30만개”라며 “차례로 1진, 2진, 3진 이렇게 준비를 해서 환자가 발생을 하면 또 동원할 수 있는 체계를 미리 짰어야 했는데 지금 못 짰고 지금이라도 상급 종합병원들 그리고 대학병원들 이런 병원들에 협조를 구해서 그런 병상을 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우 대표는 삼성, 아산 등 대형 병원들이 병상 제공에 소극적인 모습에 대해서는 “지금 상황에서는 비응급 수술만 미뤄도 대형병원에서 있던 약 10% 정도 또는 더 많은 숫자까지도 병실을 마련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필수 치료에 제한을 줄 필요도 없이 민간병원 병상 가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우 대표는 민간병원은 자체 사정이 있다고 하더라도 정부마저 병상 확보에 소극적인 점은 강하게 비판했다. 우 대표는 “정부가 아직까지도 위중함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그런 상황 같다”며 “생활치료센터는 병상이라고 표현하면 안된다. (확보한) 2000병상이면 닷새 만에 다 소진된다”고 지적했다.

우 대표는 “갑자기 하다 보니까 강력한 요청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 정부가 빨리 결단 내려서 좀 더 강력한 요청을 하고 권고를 해서 문제를 해결하기 바란다”고 거듭 요청했다.

우 대표는 선례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2~3월 대구경북 지역 대유행 당시 대구 가톨릭병원, 영남대병원, 경북대병원 등이 병상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우 대표는 “그 대형병원들이 병상을 내놓은 다음부터 의료시스템도 안정되고 사망률이 떨어지기 시작했다”며 “이런 것만 보더라도 상급 종합병원들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