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갈된 동해가스전에 이산화탄소 묻는다…국내 첫 CCS 실증사업 ‘속도’
by김형욱 기자
2023.07.13 15:02:19
정부 2.4조원 예산 투입 추진하고,
석유공사-현대건설 기본설계 시작
2025~2030년 연 120만t 저장 실증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와 업계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자 고갈된 동해가스전에 이산화탄소를 묻는 국내 첫 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가 2030년까지 국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2018년 기준 7억2760만t)의 1.5%에 이르는 1120만톤(t)의 온실가스를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를 통해 줄인다는 계획을 세워놓은 가운데, 국내에선 전례 없는 CCS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이 현실화할지 관심을 끈다.
|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 중인 동해가스전 활용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사업 개념도. (그림=산업부) |
|
동해가스전 운영 공기업인 한국석유공사는 지난 12일 현대건설(000720)과 동해가스전 활용 CCS 실증사업 사전 기본설계(Pre-FEED) 수행을 위한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정부 차원의 CCS 실증사업 추진을 앞두고 업계가 이에 대한 사전 준비에 착수한 것이다.
정부와 업계는 기후온난화를 비롯한 기후위기에 대응해 온실가스를 감축하자는 전 세계적 움직임에 맞춰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나온 게 CCUS다. 철강·화학 등 온실가스 다배출 사업장에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모아 천연가스를 추출하고 빈 가스전에 저장하거나(CCS), 산업 용도로 활용(CCU)하는 개념이다. 국내에선 아직 생소한 개념이지만 전 세계적으론 30여 곳의 CCS에서 연 4500만t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다.
우리 정부·업계도 10여 년 전부터 관련 기술개발과 소규모 실증사업을 추진해 오다가 지난 2021년 이를 본격화했다. 한국CCUS추진단을 설립하고 CCUS 기술혁신 로드맵을 만들었다. 또 2025~2030년에 걸쳐 고갈된 동해가스전에 연 120만t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한 실증 사업 채비에 나섰다. 울산 남동쪽 58㎞ 해역에 있는 동해가스전은 1998년 발견돼 2004년 생산을 시작해 소량의 천연가스를 생산해왔으나 2021년 완전히 고갈돼 빈 채로 남겨져 있다. 추진 과정에서 연 40만t 규모의 실증사업 규모를 세 배 키웠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약 2조40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하고자 지난달 예비타당성(예타) 조사를 신청했고 7월 말부터 본격적인 조사가 이뤄진다. 석유공사와 현대건설은 이번 협약에 따라 예타 조사에 필요한 기본설계를 수행한다. 이산화탄소를 이곳으로 수송하고 저장하는 데 필요한 각종 인프라와 각각의 인프라의 규격과 개념, 이에 필요한 장비, 비용 등을 산출한다. 석유공사는 이곳을 운영·관리하는 주체로서 이곳에서 축적한 경험과 데이터가 있고 현대건설은 해외 CCS 개발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 있다.
석유공사와 현대건설은 이번 기본설계 수행을 토대로 예타 조사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이 사업이 예타를 통과해 실제 추진됐을 때 성공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철강·화학 등에 대한 온실가스 무역장벽이 강화하고 있는 만큼, 이 실증사업이 성공리에 진행된다면 전 지구 차원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것은 물론 국가 차원의 산업 경쟁력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으로 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 추진을 위한 첫 걸엄을 내딛었다”며 “주어진 과업을 차질 없이 수행해 사업 성공의 초석을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