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물가 5.2% 전망…“물가압력 소비자 전가, 회복 더딜 것”

by조용석 기자
2022.09.19 15:00:00

[한국경제 보고서] 1998년 이후 가장 높은 물가 전망
한은 전망치와 동일…“에너지 가격 상승에 러우전쟁 겹쳐”
올해 성장률 올리고 내년은 하향…“中 봉쇄조치 등 변수”

[세종=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물가 상승률이 24년 만에 가장 높은 5%대로 예측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이 겹쳤기 때문이다. 또 올해 한국의 실질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는 소폭 상향조정했으나, 내년 전망치는 0.3%포인트 낮췄다.

(자료 = 기재부)


한은 수정 전망치와 동일…“에너지 가격 상승에 러우전쟁 겹쳐”

OECD는 19일 발표한 ‘2022 한국경제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소비자물가를 5.2%로 전망했다. 이는 OECD가 지난 6월 경제전망 때 발표한 소비자물가 전망치(4.8%)와 비교해 0.4%포인트나 상승한 것이다. 다만 이는 현재 유가수준이 2023년 내내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전망했다.

OECD가 한국의 물가상승률을 5%대로 전망한 것은 1998년 외환위기(7.5%) 당시 이후 24년 만이다. 한국이 특히 힘겨웠던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년에도 물가 전망치는 4.7%로, 4%대를 넘지 않았다. OECD는 내년 소비자물가 전망치도 종전보다 0.1%포인트 올린 3.9%로 발표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지난달 25일 수정 경제전망에서 발표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5.2%) 전망치와 동일하다. 이는 지난 5월 발표한 기존 전망치(4.5%)보다 0.7%포인트 높고, 역시 한은 연간전망치로 1998년(9.0%)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다.

OECD는 “한국에서는 이미 전쟁 전부터 코로나19로 인한 공급 차질과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높아지고 있었다”며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겹치면서 에너지 가격은 더 올라가고 물가상승률도 더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절반 이상을 공급했던 크립톤 등 반도체 희귀가스의 가격상승이 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OECD는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하락으로 7월(6.3%)보다 낮은 5.7%를 기록했다”면서도 “그러나 물가안정 목표치(2%)의 3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이는 공급망 차질, 소비회복 등 잔존한 상승 압력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또 물가상승이 경기회복세를 제약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자료 = 기재부)


◇올해 성장률 올리고 내년은 하향…“中 봉쇄조치 등 변수”


OECD는 올해 한국의 실질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을 2.8%로 전망했다. 지난 6월 전망 대비 0.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또 한국은행(2.6%), IMF(국제통화기금·2.3%)의 최근 전망치보다도 높다.

OECD가 올해 성장률 전망 상향을 조정한 데는 코로나19 위기관리에 이어 늦은 봄부터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거리두기가 사실상 해제되면서 서비스업 회복을 위한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새 정부의 추가 재정부양책도 실질성장률 상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회복은 지속되겠지만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봤다. OECD는 2023년 성장률 전망치를 직전 2.5%보다 0.3%포인트 낮춘 2.2%로 수정했다.

OECD는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공급망 차질로 인한 물가상승 압력이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어서 회복 속도는 점진적일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중국 봉쇄조치, 한반도 지정학적 변수 등이 리스크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