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기자회견, '경제'에 방점..'불통' 해소는 미지수
by피용익 기자
2014.01.06 17:08:52
[이데일리 피용익 이도형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발표한 신년 국정운영 구상은 ‘경제’에 방점이 찍혔다. 박 대통령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통한 선진국 도약 의지를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한 비정상의 정상화와 규제 개혁 등을 언급했다. 개각, 개헌, 남북 문제를 설명하면서도 경제 논리를 내세웠다. 박 대통령의 집권 2년차 국정운영이 경제활성화에 초점을 맞출 것이란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반면 이날 기자회견의 취지였던 ‘소통’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대통령은 자신을 둘러싼 ‘불통’ 논란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했지만, 오히려 ‘소통’의 의미에 대한 국민과 박 대통령의 해석에 상당한 간극이 있음을 보여준 꼴이 됐다는 지적도 있다.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구상 발표는 ‘경제’로 시작해 ‘경제’로 끝났다.
박 대통령은 TV로 생중계된 연설을 통해 새해 인사를 전한 후 “지난 한 해를 돌아보면,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 새 정부가 출범한 후에 국민 여러분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기 위해 밤낮으로 고민하고, 최선을 다했던 한 해였다”고 집권 1년차를 평가했다.
그러면서 집권 2년차 계획을 소개하면서 “우리 경제의 혁신과 재도약을 위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세우고 성공적으로 이끌어서 국민행복시대를 열어가겠다”고 선언했다.
연설 말미에는 “세계 속에서 선진 한국을 만들어 가기 위해 국민 여러분께서 성공적인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힘을 모아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경제 혁신 3개년 계획’을 설명하면서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를 재차 언급해 주목된다. 지난 3일 영빈관에서 열린 신년인사회에 이어 두번째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3일 신년인사회 참석자들에게 새해 덕담을 건네면서도 “경제계는 과감한 혁신과 투자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제경쟁력을 더욱 높여서 국민소득 4만불 시대를 앞당겨야 한다”고 당부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이 임기 내 국민소득 목표치를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인 목표치를 거듭 언급했다는 점은 관심이 모아진다.
박 대통령은 경제 문제를 중점적으로 언급한 것 외에도 정치·외교 문제에 대해서도 경제 논리를 들어 설명했다. 그만큼 경제 활성화가 한국이 당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라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개헌론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경제회복의 불씨가 조금 살아나서 여러가지 프로젝트를 갖고 국민과 힘을 합쳐 민생을 안정시키고 경제가 궤도에 오르게 해야 할 시점에 이런 것으로 또 나라가 다른 생각없이 여기(개헌)에 빨려들면, 이 불씨도 꺼지고 한 번 살려내기도 힘든데 경제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다른 생각을 말고, 이 불씨를 살려내 확실하게 한 번 경제회복을 시키고 국민도 삶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갖고, 희망을 갖고 3만달러, 4만달러 시대를 열어가는 기틀을 만들어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개각 가능성에 대해 “지금 집권 2년차를 맞아서 정말 할 일이 너무 많다. 1초도 아깝다.
정부 전체가 힘을 모아서 국정 수행에 전력투구를 해야 할 시기이다”라고 말한 것 역시 경제 활성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맥락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남북 문제에 대해 ‘대박’이란 표현까지 써가며 “저는 한반도 통일은 우리 경제가 대도약할 기회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박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이뤄진 것이란 점에서 그동안의 ‘불통’ 논란을 해소할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박 대통령은 때로는 단호한 어조로, 때로는 온화한 미소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했다. 그러나 80여분 간의 회견이 ‘불통’ 이미지를 완전히 씻어내기에는 부족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대통령은 “(불통에 대해) 여러 많은 얘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물론 소통을 하기 위해서 우리 모두가 더욱 노력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지만, “그런데 진정한 소통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반론’을 펼쳤다.
박 대통령은 “단순한 기계적 만남이라든지 또는 국민 이익에 반하는 주장이라도 적당히 수용하거나 타협하는 것이 소통인가. 그건 소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동안 우리 사회를 보면 불법으로 막 떼를 쓰면 적당히 받아들이곤 했는데, 이런 비정상적 관행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대응하는걸 ‘소통이 안돼서 그렇다’고 말하는 건 잘못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그동안 소통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노력 의지를 언급한 점은 긍정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다만 자신의 입장을 해명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임에 따라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는 지적도 있다.
여야 정치권의 반응을 보면 이 같은 사실이 역력히 나타난다.
새누리당은 호의적인 반응이다. 유일호 새누리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민의 행복과 나라의 발전을 위해 정부가 더욱 국정에 매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자리”라면서 “박 대통령과 국민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논평했다.
반면 야당은 차가운 반응을 보였다. 김관영 민주당 대변인은 “대통령의 일방적인 메시지를 전달한 기자회견으로 실망스럽다”며 “소통을 얘기하면서 법과 원칙을 강조한 것은 만나고 싶은 사람들만 만나겠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철수 무소속 의원 측 새정치 추진위원회의 금태섭 대변인은 “경제 활성화를 국정 운영의 우선순위에 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국민의 삶이 무너지고 있는 엄중한 현실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민생에 대해서는 원론적 언급으로 일관해 국민의 기대에 미흡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