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명철 기자
2022.10.05 12:20:14
농식품부, 스마트농업 확산 통한 농업혁신 방안 마련
농업생산 30% 스마트농업 전환, 주요 곡물재배 자동화
스마트팜 유니콘기업 육성, 인력 양성·규제 개선 지원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앞으로 논·밭·하우스 등에서 이뤄지는 농업 생산의 30%를 스마트농업으로 전환한다. 기계화가 이뤄진 벼 농사를 비롯해 지금까지는 토마토·포도 등에서 스마트팜이 대세였다면 앞으로 5년 후 주요 곡물재배 자동화가 목표다. 농업용드론이나 로봇 등을 상용화해 무인 재배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열린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일부 농업인이 활용하는 스마트통업이 확산되도록 민간 역량을 높이고 품목별 도입 확산과 연구개발(R&D), 데이터 등을 강화하는 내용이다.
전세계 스마트농업 시장은 올해 161억달러(약 22조9000억원) 규모로 연평균 10%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다. 반면 국내 시장 규모는 지난해 3000억원에 그치고 관련 기술 발전과 농가 도입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평가다.
농식품부는 농업 생산의 30%를 스마트농업으로 전환해 1조원 규모 시장을 형성하고 유니콘기업 5개 육성 등을 정책 목표로 삼았다.
우선 딸기·참외·화훼 등 주산지 온실에 스마트팜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해 노동력 절감과 물·비료 등 생산요소 투입 최적화 등 현장 문제를 개선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품목별 스마트 온실 설계 가이드라인을 보급해 스마트농업 기술·장비를 확산하고 2024년 스마트팜 혁신밸리 등 첨단온실 조성지역 주변을 육성지구를 지정해 장비 보급, 컨설팅 지원, 규제 완화 등을 추진한다.
축산농가 대상으로는 사물인터넷(IoT)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축산 장비 지원 대상을 6900호로 늘리고 악취 저감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시설이 노후하고 주거지에 인접한 축사는 사료 자동화와 환경제어 장비 등이 설치된 스마트축산 단지로 이전을 지원한다.
소규모 다품목 영농 위주인 노지 작물에 대해서는 2027년까지 주요 곡물 재배 자동화를 목표로 설정했다. 내년 무인·자동화 시범단지를 조성해 자율주행 농기계와 농업용 드론·로봇 상용화를 지원한다. 또 주산지·품목별 시범단지를 만들어 자동 관수·관비 시스템, 방제용 드론, 환경 센서 등 즉시 보급 가능한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밭작물에는 자동·원격 관수관리 시스템을 보급하고 자율주행농기계·자동관개서비스 등 스마트농업에 적합한 농법이나 농지 형태도 정비한다.
스마트 장비·서비스를 활용해 노동력 부족, 가뭄, 병충해 등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맞춤형 모듈식 기술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기술 시연과 실증을 진행할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연구개발 등 정책사업 지원 체계도 개편한다. 선도·유망기술을 보유한 기업 간 공동기술 실증이나 사업화 협력을 유도해 스마트농업 유니콘기업을 육성키로 했다.
전문 컨설턴트 인재 풀을 확보하기 위해 2024년 공인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 제도를 도입하고 수준별·분야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스마트농업의 성장 기반 마련 방안으로는 먼저 표준화된 농업 데이터를 수집·관리하고 데이터 분석과 문제 해결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개방형 스마트농업 데이터·인공지능(AI) 플랫폼을 구축한다. 플랫폼에서 민간·공공이 보유한 데이터를 공유·거래해 데이터 기반의 농업을 장려한다는 복안이다.
△AI 예측 △AI 온실 관리 △온실용 로봇 △축산 IoT △AI 축사 관리 △가변관수·관비기술(VRT) △자율주행 △노지 수확로봇 등 8개 핵심기술의 개발·상용화를 추진해 선진국과 격차 줄이기에도 나선다.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과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성능 시험장을 마련하고 지능형 농기계를 시험할 수 있는 실증단지도 구축한다. 수직형 스마트온실 설치장소 확대 등 민간 주도의 스마트농업 확산에 필요한 규제 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스마트농업이 기후변화, 노동력 부족, 환경부담 등의 해결 수단이 되려면 많은 농업인이 스마트농업을 활용하고 기술력을 갖춘 우리 기업이 스마트농업 장비·서비스를 제대로 공급해야 한다”며 “우리 농업인·기업 중심으로 스마트농업을 확산시키고 우리 농업을 혁신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