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윤진섭 기자
2010.11.23 17:08:10
과거 북핵·미사일 발사 때 단기충격 뒤 회복
"영향 제한적" VS "직접도발, 이전과는 다르다"
[이데일리 윤진섭 기자] 한동한 잠잠하던 지정학적 위험이 다시 수면위로 부상했다. 지난 3월 천안함 침몰 이후 8개월 만에 북한이 연평도에 포 사격을 벌인 것이다.
과거 북한의 핵 개발과 미사일 발사 소식, 천안함 등 대북 리스크는 한국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 바 있다. 단기적으로는 증시와 환율, 금리 등 금융시장에 충격파를 던질 때가 많았고, 중장기적으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대북 리스크가 대외 신인도에 악영향을 준 적은 있지만 한국 경제에 발목을 잡은 적은 없었다. 이런 이유로 이번 북한의 도발이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겠지만, 장기적으론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반면 이번 사태가 해안포가 직접 국내 영토에 포격을 했다는 점에서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즉 상황이 악화될 경우 이전과는 달리 금융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그동안 북한발 위기에 대해 한국 경제는 내성을 키워왔다.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와 2002년 2차 북핵 위기, 2006년 미사일 발사에 이은 핵실험 등 초특급 북한 악재가 발생할 때마다 경제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로켓발사나 핵 실험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경제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한 적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
예를 들어 북한의 핵실험이라는 초강력 악재가 터진 2006년 10월 당일 코스피지수는 32포인트 하락하고 달러-원 환율은 14.8원이 급등하는 등 시장은 요동을 쳤지만 보름정도 지나자 모두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천안함 사고가 발생한 지난 3월 말에도 국내 주식시장과 금융시장은 큰 충격을 받지 않았다. 발생 직후인 29일 주가는 5.73포인트 소폭 내렸고, 환율은 오히려 3.2원 하락했지만 며칠 만에 모두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특히 무디스는 이 같은 악재에도 불구하고 올해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해, 대외 신인도가 북핵 리스크에 큰 변수가 아님을 시사했다.
강현철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과거 1990년대 이후 북한 미사일 사태를 살펴보면 주가 영향력은 최저 1거래일에서 최대 4거래일 정도에 그쳤다”며 “따라서 이번 사태가 시장에 미칠 충격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반면 이번 사태가 국내 영토에 북한이 직접 타격을 벌였다는 점에서 미치는 영향이 과거와는 다르다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북측의 도발은 이번이 처음이며, 이에 따른 파장이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남북한의 극단적 대치가 장기화되고, 또 다른 교전이 일어난다면 대외 신인도나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달 중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우리나라 신용등급 발표가 주목을 끌 것으로 보인다.
S&P는 현재 피치(A+)나 무디스(A1)에 비해 한 단계 낮은 A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당초 우리나라는 S&P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올릴 것으로 예측해왔으나, 이번 북의 도발로 신용등급 상향 여부가 불투명해진 상태다.
한 민간 연구소 관계자는 "남북관계가 더욱 경색될 경우 경제 전반에 불안심리가 증폭되고 외국인들이 증시에서 좀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는 등 불확실한 한국경제에 타격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며 "투자심리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신용평가사들의 판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