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임정요 기자
2025.02.20 10:47:41
[이데일리 임정요 기자]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평가를 진행하는 기관들이 일부러 ‘피하고 싶은 기관’으로 이미지를 다지고 있는 행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무작위로 평가기관을 배정받는 기술평가에서 ‘점수를 낮게 주는’ 곳을 피하는 방법은 해당 기관과 사전에 현금거래 기록을 만들어 이해상충 관계를 만들면 되기 때문에 빈발하는 현상이다. 일명 모의고사 형태의 ‘예비평가’다. 일각에서는 평가기관들이 수익창출을 목적으로 일부러 기업에 낙제점을 준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19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일부 기술평가 기관들이 수익성을 위해 바이오 기술기업들에 부담을 지우고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들은 기술평가점수로 BB 또는 BBB를 많이 주는 기관이라는 이미지를 세워, ‘예비 기술평가’ 또는 ‘기술평가서 컨설팅’을 받도록 유도하곤 한다. 현금이 오고 간 사이를 구축해 의도적으로 ‘이해상충(COI)’을 만들어 정식 기술성 평가에서는 심사기관에서 피해가는 방책이다. 예비 기평의 경우 정식 기평보다 값은 더 비싼 반면 평가기관에 부과되는 책임은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데일리 취재에 따르면 정식 기술평가는 2000만원이지만, 모의 평가는 4000만원이다. 나아가 기술소개서 대필 서비스는 1억 1000만원에서 1억 5000만원까지 청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평가기관에 몸 담았던 한 업계 관계자는 “7개 기술성 평가기관 중 정부출연기관인 기술보증기금(기보)을 제외하고 나이스평가정보, 한국기업데이터, 이크레더블, 나이스디앤비, SCI평가정보, 한국기술신용평가 6곳 모두 해당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보도 도덕성이 높아 안하는게 아니라 공적기관이기 때문에 영리적 서비스를 운용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