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파워]"내가 제일 잘 나가" 아프리카, 성장 파워 과시

by성문재 기자
2013.06.13 17:11:50

내전 잦아들며 사회 안정성 개선..자원 가격 상승에 탄력
도시화 진행·인구 증가로 소비 잠재력 폭발..FDI 급증
마지막 숙제는 '경제투명화'..각국 정부 잇단 정책 제시

[이데일리 성문재·김태현 기자]2000년부터 10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많이 성장한 나라는 어디일까.

‘세계의 공장’ 중국과 ‘중국의 대안’ 미얀마도 아닌 서부 아프리카의 앙골라다.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차드, 모잠비크, 르완다 등도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리며 아프리카 파워를 과시했다.

2001~2010년 경제 성장률 순위(출처: 삼성경제연구소)
오랜 기간 저성장에 머물던 아프리카 경제는 2000년대 접어들면서 본격적인 성장 가도를 달리며 ‘기회의 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 경제가 주춤하고 있는 만큼 세계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한 대안으로 아프리카에 거는 기대가 클 수 밖에 없다.

아프리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980년대 1.9%, 90년대 2.3%에 불과했지만 2001년 이후 지난해까지 연평균 5.1%를 기록했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신흥국 시장을 대표하는 아시아(7.6%)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올해는 4.8% 성장이 예상된다.

1인당 GDP도 2000년 750달러(약 85만원)에서 2010년 1700달러로 십년새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아프리카 경제가 이처럼 성장 탄력을 받고 있는 것은 1990년대 말 이후 내전이 줄어 사회 안정성이 개선된데다 에너지·자원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세계 광물 자원 중 아프리카 보유 비중(자료: 미국 지질연구소)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아프리카 국가 가운데 78%가 지난해 기준 기업경영환경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에는 이 수치가 33%에 불과했다.

산업별 GDP 성장 기여율은 자원 개발이 24%로 가장 높다. 도소매(13%), 농업(12%), 운송 및 통신(10%)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아프리카는 백금, 다이아몬드 등 귀금속과 코발트, 크롬 등 희소금속을 포함한 다양한 광물 자원을 가지고 있다. 향후 개발에 따라 매장량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자원 생산국으로서의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게다가 경제성장, 인구 증가, 도시화에 따른 인프라 수요 등 내수시장으로서의 매력도 커지고 있다.

아프리카의 도시화율은 지난 1980년 28%에서 2010년 40%를 넘어 2025년에는 47.2%에 달할 전망이다. 세계 건설시장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1년 8.3%에서 2009년 14.8%로 약 두 배 늘었다.

인구는 이미 10억명을 돌파했으며 오는 2050년에는 22억명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연평균 예상 증가율은 1.85%로 세계 평균 0.72%의 두배를 훌쩍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15~64세에 해당하는 노동인구는 오는 2029년 중국을 추월할 것이라고 유엔이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가구당 소득 수준도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다시 말해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도 상당히 크다는 뜻이다.

아프리카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2000년 110억달러에서 십년 만에 550억달러로 5배 급증했다. 세계적 회계법인 언스트앤영이 지난 2011년 세계 기업인들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5%가 향후 3년간 아프리카의 투자 매력도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아프리카에 대한 투자를 망설이게 하는 것이 있다면 경제적, 법률적 범위 밖에서 이뤄지는 경제 활동 규모가 아직도 크다는 점이다.

세계은행(WB)이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아프리카 평균 비공식 경제 규모는 전체 42%에 달한다. 짐바브웨는 경제 규모 중 비공식 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59.4%를 차지해 조사대상국 중 가장 높았다.

이 때문에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민 소득 투명화를 통한 경제활성화를 위해 감세 조치에 나서고 있다.